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산외면 이식리 이식리주포유래비(山外面 梨息里 梨息里舟浦由來碑) 본문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산외면 이식리 이식리주포유래비(山外面 梨息里 梨息里舟浦由來碑)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21. 6. 7. 18:46

이식리 주포유래비입니다.

이식리는 옛날에 속리천에 배가 다녔고 쉬었다가 가는 곳이라 하여 배쉰개, 배진개, 주식포(舟息浦), 주포(舟浦)라 하였다. 멀리서 마을 전체를 바라보면 주변의 고봉준령 속에 마치 커다란 배 한 척이 정박하고 있는 형태를 띠는데 웃말과 아랫말 사이의 작은 동산이 마치 배의 돛을 연상케 한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내북면의 천산리를 병합하여 이식리라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배진개와 밤소가 있다. 배진개는 배가 쉬어가는 포구라 하여 배쉰개 라고도 하였으며 새말과 양짓말로 나뉜다. 새말(아랫말)은 배진개 아래에 새로 생긴 마을이고 양짓말(웃말)은 배진개 양 지쪽에 있다 하여 양짓말이라 하며, 또는 위쪽에 있어서 웃말이라고도 부른다. 밤소는 배진개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밤나무 숲이 있었다고 하며, 다른 지역보다 바람이 세게 불어 바람소리의 준말로 밤소라 하기도 하였다

 

배의 형상이라서 샘도 못팠던 이식1리 │ 배진개에는 지명 때문에 생긴 재미있는 이야기가 전해 오고 있다. 옛날 마을 주민들은 새터말 개울이나 속개울에서 흐르는 물을 떠다 식수로 사용했는데, 그 이유는 이 곳이 배의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마을 안에 샘을 팔 경우 배에 구멍을 뚫는 것과 같아 배가 가라앉는 것처럼 마을이 황폐화될 것이라 믿었기 때문이라 한다. 배쉰개니 배진개니 하는 지명은 모두 마을 옆을 흐르는 물길과 연관되어 있다. 속리산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사내리를 거쳐 상판리, 백석리, 원평리, 길탕리, 중티리 를 거쳐 이식리를 지날 즈음엔 제법 큰 강줄기를 형성하여 한번쯤 쉬어갈 만한 포구 가 형성되었을 것이다. 산과 고개 사이를 비집고 넓은 들을 적시며 흐르는 달천 상류의 이 물줄기는 이식리를 거치며 더욱 강폭이 넓어진다. 넓어지는 강폭과 달리 이식리는 세월의 흐름을 거스르지 못한 채 점점 작아지 고 있다. 번성했을 당시에는 100여 가구에 달하는 큰 마을이었던 이식1리는 30여 가구의 작은 마을이 되었고, 한때 학생이 5백 명이 넘었던 이식초등학교는 폐교되 어 황량함을 더한다.

 

지금은 페교가 되어 황량한 이식국민학교의 지금 모습입니다.

 

 

하나하나 사라져 가는 또 하나의 의미를 아는것도 참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