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국립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부여박물관
- 각연사
- 공산성 선정비
- 충주박물관
- 선돌
- 경주김씨
- 청주박물관
- 밀양박씨
- 사인암
- 보성오씨
- 효자각
- 화양구곡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오블완
- 단지주혈
- 법주사
- 한독의약박물관
- 사과과수원
- 문경새재
- 상당산성
- 곡산연씨
- 공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문
- 청풍문화재단지
- 부도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동 암각자
Archives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성면 도장리 대성사석조여래입상(靑城面 道場里 大成寺石造如來立像) 본문
옥천 대성사 석조 여래 입상은 돌기둥형 석불이다. 대성사가 있는 청성면 도장리(道場里)는'불당골(佛堂谷)'로도 불리는 것으로 보아 불교와 관련된 지역 임을 알 수 있다. 언제 세워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옥천 육씨 족보에도 "조선 성종 22년(1491년)에 대성사에 석불이 있었다.” 라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 입상은 높이가 360cm이며, 가운데 시멘트로 보수한 흔적이 있다. 머리에는 둥근 모자를 쓰고 있고 양쪽 어깨를 덮은 통견식으로 법의를입고 있으며, 맨 아래에는 발의 모습도 확인된다. 왼손 가운데에 홈이 있는 것 등으로 보아 지물(持物)을 받쳐 들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둥근 관모 형식을 쓴 형태는 서울 약사사 석불 입상(1490) 등과 유사하며, 예산 삽교 석조 보살 입상과 같이 두 개의 돌기둥을 조립하여 만든 형식은 고려 석불의 전통으로 볼 수 있다. 이 입상은 지역 공동체에 신앙의 대상이며, 조선 전기 석불의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서 가치가 매우 크다
청성면 도장리 마장골 대성사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충청북도 문화재자료로 2016년 3월4일에 지정 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충북의 바람소리 > 옥천군(沃川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내면 답양리 가산사산신각(安內面 畓陽里 佳山寺山神閣) (0) | 2021.10.31 |
---|---|
안내면 답양리 가산사영정각(安內面 畓陽里 佳山寺影幀閣) (0) | 2021.10.31 |
안내면 현리 정남용불망비(安內面 縣里 鄭南溶不忘碑) (0) | 2021.10.31 |
안내면 현리 전주관찰사김명수불망비(安內面 懸里 全州觀察使金命洙不忘碑) (0) | 2021.10.30 |
안내면 서대리 열부광산김씨비(安內面 西垈里 㤠夫光山金氏碑) (0) | 2021.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