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곡산연씨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부도
- 화양동 암각자
- 경주김씨
- 공주박물관
- 화양구곡
- 밀양박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여박물관
- 단지주혈
- 공산성 선정비
- 충북의 문화재
- 사인암
- 사과과수원
- 각연사
- 티스토리챌린지
- 효자문
- 문경새재
- 충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청주박물관
- 효자각
- 상당산성
- 선돌
- 보성오씨
- 국립청주박물관
- 법주사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내수읍 저곡리 이병수사적비(內秀邑 楮谷里 李炳洙事蹟碑) 본문
저곡리楮谷里(탁골,楮谷,골닥골)는 본래 청주군 산외일면의 지역으로서 닥이 많이 있으므로 닥골 또는 저곡(楮谷)이라 하였는데, 1914年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매평리(梅坪里)와 비중리(飛中里) 일부를 병합(倂合)하여 저곡리라 해서 북일면(현 내수읍)에 편입(編入)되였습니다.
청주시 내수읍 저곡리에 1990년에 세운 북암 이병수(北庵 李炳洙)의 사적비(事蹟碑)로서 비문은 성균관장 김경수(金敬洙)가 짓고 글씨는 평양(平壤) 조병호(趙柄鎬)가 썼다. 비석의 전면에는 북암전주이공사적비(北庵全州李公事蹟碑)라고 각인되어 있으며 옆에는 효자 이주업의 기적비가 자리하고 있다. 저곡리는 전주이씨의 집성촌입니다.
이병수(李炳洙 1883~1959)는 전주인으로서 자는 기화(奇化)요 호는 북암(北庵)이다. 선고(先考) 종원(鍾元)공과 모부인(母夫人) 진주강씨(晋州姜氏) 사이에서 태어났다.공은 사람됨이 강직화수(剛直和粹)하고 간결상아(簡潔詳雅)하였다.11세에 부상(父喪)을 당해 애통히 울기를 성인과 같이 하였고 상장지절(喪葬之節)을 법도에 맞게 하였다.편모(偏母) 봉양하기를 승순(承順)으로서 하고 어버이 뜻에 거스름이 없었다.마을에서 향약정(鄕約正)으로 존경받는 한편 선영수호와 제토(祭土)관리 유사로 종손을 보좌하였다.또한 청은(淸隱)선생 유고를 보존하고 누대선조의 석의(石儀)와 청은공(淸隱公)묘비와 삼호공(三湖公) 송정공(松汀公) 존석(尊石)등에 선도적 역할로 사업을 완수하였다.[내수읍지]
청원구 내수읍 저곡리 < 이·통장이 소개하는 우리 동네 이야기 < 기획·특집 < 기사본문 - 동양일보 (dynews.co.kr)
'통합청주시 > 청원구(淸原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수읍 비상리 전주이씨효열비각(內秀邑 飛上里 全州李氏孝烈碑閣) (0) | 2022.12.22 |
---|---|
내수읍 비중리 충노비(內秀邑 飛中里 忠奴碑 ) (0) | 2022.12.22 |
내수읍 비상리 변익하효자각(內秀邑 飛上里 卞益夏孝子閣) (0) | 2022.12.21 |
내수읍 저곡리 효자이주업기적비(內秀邑 楮谷里 孝子李柱業紀蹟碑) (0) | 2022.12.21 |
내수읍 도원리 열녀강릉김씨비(內秀邑 桃源里 㤠女江陵金氏碑) (0)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