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티스토리챌린지
- 국립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법주사
- 부도
- 선돌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여박물관
- 밀양박씨
- 청풍문화재단지
- 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각연사
- 단지주혈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상당산성
- 효자각
- 공주박물관
- 문경새재
- 오블완
- 보성오씨
- 화양구곡
- 공산성 선정비
- 사과과수원
- 경주김씨
- 곡산연씨
- 사인암
- 효자문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미원면 운암리 애국지사 김태희묘소(米院面 雲岩里 愛國志士 金泰熙墓所) 본문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운암1리 마을 뒷산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부인 청주곽씨와 쌍분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비석의 전면에는 독립투사일석김태희선생묘( 獨立鬪士一石金泰熙先生墓)라고 적혀 있으며 후면에는 김태희선생의 약력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2015년 4월 17일 청주시의 향토유적 제19호로 지정되었다.
한말과 일제강점기 청주지역을 중심으로 계몽운동과 독립운동을 주도한 일석(一石) 김태희(金泰熙, 1877~1936)의 묘소이다. 그는 청주시 탑동에서 태어나 한학을 배웠고, 19세 무렵 미국인 선교사 민노아(憫老雅, F.S.Miller, 1866 ~ 1937)를 찾아가 기독교와 서구사상을 접하였다. 1904년 방흥근(方興根), 김원배(金元培) 등 동지들과 광남학교(廣南學校), 후에 청남학교(淸南學校)를 설립하여 교장을 맡아 청주지역의 근대교육을 열어나갔으며, 민노아가 1904년에 설립한 청주 읍 교회와 협력하여 경영하였다. 1907년에는 청주에서 최초의 여자학교인 청신여학교(淸信女學校)를 선교사의 부인 도티(Doty)여사와 함께 설립하였으며, 1924년에 청남학교와 합병하여 운영하였다.
1909년에는 비밀결사 단체인 대동청년당에 참가하여 민족운동에도 참여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전개되고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자, 국민회 충북도회 회장, 임시정부 충청북도 독판부 참사로서 활동하였다. 1920년 6월에는 청주청년회 창립을 주도하였고, 이 해 말 조선청년연합회가 조직될 때 청주청년회 대표로 참석하였다. 1921년 망선루(望仙樓)가 헐리는 위기에 놓이자 이를 청주 읍 교회로 이전, 복원하기 위한 시민운동에 앞장섰다. 1923년 3월 민립대학 설립총회 때에는 청주군 대표로 참여하였고, 1927년 12월에는 신간회 청주지회의 결성을 주도하고 이후 간사로서 지회를 이끌었다. 이후 신탄진으로 이주하였고, 1936년 사거하여 공동묘지에 묻혔다가 1959년 이곳 선영하로 안장되었다.
1963년 독립운동의 공적이 있음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그와 부인 청주 곽 씨의 묘소는 쌍분의 모습을 띠며 합분 되어 있다. 묘소 앞에는 1970년 문인들이 그의 역력을 기록해 세운 묘비와 문인 김현태, 정기환, 최정모가 1970년에 세운 ‘독립투사 일석 김태희 선생 묘’ 비가 건립되어 있다.
'통합청주시 > 상당구(上黨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문로1가 제일교회 로간부인기념비(南門路1街 第一敎會 로간 婦人紀念碑) (0) | 2025.04.02 |
---|---|
운동동 양수척효자비(雲東洞 楊水尺孝子碑) (1) | 2025.03.30 |
우암산 상봉고개(牛岩山 相逢고개) (0) | 2025.03.26 |
상당구 용정동 중고개마을 유래비(上黨區 龍亭洞 중고개마을 由來碑) (0) | 2025.02.20 |
가덕면 청용리 고천군사우,재실(加德面 靑龍里 高川君祠宇,齋室)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