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청주박물관
- 효자각
- 티스토리챌린지
- 사인암
- 국립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법주사
- 오블완
- 부여박물관
- 공주박물관
- 밀양박씨
- 단지주혈
- 화양구곡
- 충북의 문화재
- 문경새재
- 효자문
- 각연사
- 부도
- 공산성 선정비
- 사과과수원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선돌
- 곡산연씨
- 문의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보성오씨
- 경주김씨
- 상당산성
- 충북나그네
- 청풍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도안면 송정리 소강정마을(道安面 松亭里 小江亭마을) 본문
‘소강정’은 36번국도에서 ‘통미’로 가는 들판 가운데 있는 마을이다. 마을 옆에는 ‘연암골’에서 발원한 물이 흐른다. 이 물은 다시 ‘배티골’과 ‘절터골’에서 발원하여 ‘월강’ 앞으로 흐르는 물과 합쳐 ‘가무지’를 지나 석곡리로 흐른다. 마을 뒤로는 낮고 평평한 산이 있으며, 마을 입구에는 아름드리 버드나무가 있어 뜨거운 여름날에 땀을 식히기에 족하다.
국도를 사이로 하고 월강마을과 접하고 있습니다.
마을입구에 있는 버드나무 아래에는 효를 강조하는 마을이라는 비석을 세워 소강정마을이라 적고 밑에는 비석을 세울 당시의 마을주민들의 이름을 새겨 놓았습니다.
‘소강정’은 송정리에서 가장 늦게 생긴 마을이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에는 이 마을과 관련된 이름이 없으나,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과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 ‘소강정(小江亭)’이 처음 등장한다.
‘소강정’에 처음 정착한 이는 곡산연씨 눌문파(訥文派)의 파조 연예수(延禮秀)의 11세손인 연봉준(延鳳峻, 1852~1902)이다. 한학자 연봉준은 화성리 ‘성도리’에 살다가 약 140여 년 전에 이 마을에 처음으로 들어왔다. 그는 큰 부자로 살면서 마을 앞 물가에 정자를 지었다. 그리하여 붙은 이름이 ‘소강정’이라는 것이다.
마을회관 옆 양지쪽에 있는 샘이다. ‘바가지샘’은 두레박 대신 바가지를 사용하는 샘이다. 이 샘은 호랑이[산신령]가 찾아 준 것이라 한다. 따라서 물맛이 좋기로 소문이 났었고, 가물어도 물이 마르지 않았다고 한다. 마을에 집이 한 둘 늘어나면서 식수를 구하려고 마을 여러 곳을 파 보았으나, 물을 구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처음에는 마을 앞에 있는 냇물을 길어다 먹었다. 그러던 어느 겨울날 눈이 많이 쌓였는데 지금의 회관 옆 양지쪽에 호랑이가 내려와 둥글게 원을 그려놓고 갔다. 마을 사람들이 이상하게 생각하여 눈이 녹은 후 그 자리를 파보니 물맛이 참으로 좋아 인근 마을까지 소문이 났다. 그 후 마을 사람들은 산신령이 잡아준 샘이라 하여 주변을 깨끗이 하며 식수로 사용하여 왔다. 지금은 사용하지 않고 뚜껑을 덮어 놓았다.
유하노인정(柳下老人亭) 는 ‘소강정’에 있는 노인정이다. 1980년에 지었는데, ‘소강정’ㆍ‘월강’ㆍ‘가무지’ 세 마을이 함께 사용했다. 마을 옆으로 작은 내가 흐르고, 그곳에 다섯 그루의 버드나무가 있다. 이 버드나무 아래 노인정을 지은 까닭에 ‘유하노인정(柳下老人亭)’이라 부른다.
마을에는 ‘연암산계’라는 산림계가 1950년에 조직되어 있다. 이 계는 송정3리 ‘월강’ㆍ송정4리 ‘소강정’ㆍ송정5리 ‘가무지’ㆍ노암리ㆍ석곡1리 사람들이 함께 조직한 것으로, 관리자를 ‘상감’이라 불렀다. 계원과 비계원을 구분하기 위해 나무를 하러 갈 때에는 반드시 지게에 이름표를 붙이고 산에 들어갔다 한다.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 > 인삼하면 증평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안면 송정리 월강마을(道安面 松亭里 月江마을) (0) | 2025.06.21 |
---|---|
정갈한 사람을 구별하는 샘. (0) | 2018.06.13 |
미륵 목을 자른 왜장이 급살하다. (0) | 2018.02.05 |
도안면 노암리 식수기념비(道安面 老岩里 植樹記念碑) (0) | 2017.04.28 |
증평읍 미암리 자양마을(曾坪邑 彌岩里 紫陽마을) (0) | 2017.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