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부여박물관
- 효자문
- 부도
- 국립청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밀양박씨
- 화양동 암각자
- 사인암
- 문의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경주김씨
- 화양구곡
- 청주박물관
- 문경새재
- 충북의 문화재
- 단지주혈
- 효자각
- 선돌
- 곡산연씨
- 충주박물관
- 오블완
- 청풍문화재단지
- 법주사
- 보성오씨
- 사과과수원
- 공산성 선정비
- 한독의약박물관
- 각연사
- 상당산성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단월동 단호사철불좌상(丹月洞 丹湖寺 鐵佛坐像) 본문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동 단호사 대웅전에 주존상으로 봉안되어 있는 고려 후기 철불좌상. 불상이 봉안된 단호사는 창건 연대를 알 수 없으나 조선 숙종 때 중건하여 약사(藥寺)라 하였고, 1954년에 단호사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단호사 철불좌상은 고려시대 불상으로 1969년에 보물 제512호로 지정되었다. 머리는 두터운 나발이고 육계는 작은 편이다. 눈은 반개하였고 눈꼬리가 옆으로 길게 곡선을 그리면서 올라갔으나, 시선은 아래로 향하고 있어 근엄한 인상이다. 미간에는 백호공이 있고 양 볼은 살이 약간 빠져 보인다. 인중은 짧고 입술은 두껍게 표현되어 중후한 느낌을 준다. 두 귀는 길게 표현되고 목에는 삼도가 분명하게 표현되었다. 두 손은 결실되어 수인을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시무외 여원인의 아미타 9품인을 취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두 손은 모두 보수를 한 상태이다. 넓은 어깨에 걸친 통견의 법의는 굵은 옷주름이 좌우대칭을 이루면서 U자형으로 내려와 있고, 드러난 가슴에는 내의의 끝단과 띠매듭이 표현되어 있다. 결가부좌한 양 다리 위로는 몇 개의 옷주름이 수평으로 투박하게 처리되어 있다. 또한 두 다리 사이에 부채꼴 모양의 옷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대좌와 광배는 전하지 않으나 불상의 모습은 당당하며 보존 상태도 좋다. 불상의 세부 표현기법과 머리에 있는 계주 등은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여기에 다소 무서운 듯한 얼굴 표현과 도식적이고 두꺼운 옷주름 처리는 충주에서 전하는 다른 철불과도 일치하여, 이 지역 철불의 특징을 반영한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는 20여 구의 철불이 전한다. 그중 충주에는 단호사 철불을 비롯하여 대원사에 봉안된 철불좌상과 백운암 철불좌상 등 3구의 철불이 있다. 이것은 충주 지역에서 철불 조성이 다른 지역에 비해 활발하였던 것을 알려주며, 충주 지역이 양질의 철을 생산했던 산지였던 사실과 일치하여 흥미롭다. 또한 단호사 철불좌상과 대원사 철불좌상은 모습이 매우 유사하여 같은 시대에 동일한 공방에 소속된 장인 등이 제작하였을 것이라는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고려시대 철불 연구에 중요한 상이다. |
'중원의 향기 > 충주시(忠州市)'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월동 남일우불망비(丹月洞 南一祐不忘碑) (0) | 2011.06.25 |
---|---|
단월동 신석기불망비(丹月洞 辛錫耆不忘碑) (0) | 2011.06.25 |
이류면 매현리청간사(利柳面 梅峴里淸間祠) (0) | 2011.06.24 |
이류면 매현리이순교송덕비(利柳面 梅峴里李淳敎頌德碑) (0) | 2011.06.24 |
주덕읍 신양리비목노래비(周德邑 新陽里碑木노래비) (0) | 2011.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