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사인암
- 법주사
- 효자각
- 부도
- 선돌
- 곡산연씨
- 화양구곡
- 사과과수원
- 단지주혈
- 경주김씨
- 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밀양박씨
- 상당산성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공주박물관
- 각연사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국립청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효자문
- 문경새재
- 보성오씨
- 충북의 문화재
- 공산성 선정비
- 화양동 암각자
- 부여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2021/02/09 (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태실(胎室)은 왕실에 왕자나 공주 등이 태어났을 때 그 태를 넣어두던 곳으로, 이곳에는 순조의 태가 안치되어 있었다. 항아리에 태를 넣어두었던 것을, 순조가 왕위에 오른 후에 왕의 태실로서 여러 석물을 갖추고 태실비를 세웠다. 태실의 형태는 8각을 기본으로 한 부도(승려의 사리탑) 모양을 하고 있으며, 주변에는 8각의 돌난간이 둘러 놓았다. 앞에는 거북모양의 받침돌과 용을 새긴 머릿돌을 갖춘 태실비가 있는데, 앞면에 ‘주상전하태실(主上殿下胎室)’이라고 새겨 놓았다. 조선 정조 11년(1787)에 만든 것으로, 이 때부터 태실이 있는 산을 태봉산이라 하고 보은현을 군으로 승격시켰다 한다. 태항아리는 1927년 일제가 창경궁으로 옮겨가고 현재는 비와 석조물만 남아있다. 8각형의 돌난간은 1982년 해체, 보..

관촉사입구를 들어서면 계단 왼쪽으로 서있는 이승만박사의 추모비입니다.비석의 전면에는 우남이승만박사추모비(雩南李承晩博士追慕碑)라고 적혀있으며 추모비는 1965년 이승만박사 서거일에 맞추어 대한반공청년회에서 세웠습니다. 이승만(李承晩, 1875년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은 조선·대한제국·일제 강점기의 개화파·독립운동가·언론인·정치인·교육자,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초대 대통령이자 마지막 주석,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다. 194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에 서훈되었다. 본관은 전주이고, 초명은 승룡(承龍), 호는 우남(雩南)이다. 황해도 평산군에서 양녕대군의 방계 16대손으로 태어났다. 대한제국 시절 《독립신문》과 《협성회회보》 주필, 독립협회 활동 등 계몽운동을 하였고, 왕정 폐지와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