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산성 선정비
- 충주박물관
- 상당산성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선돌
- 효자문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한독의약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티스토리챌린지
- 법주사
- 화양동 암각자
- 효자각
- 오블완
- 화양구곡
- 충북의 문화재
- 사과과수원
- 밀양박씨
- 각연사
- 문경새재
- 문의문화재단지
- 단지주혈
- 사인암
- 부도
- 경주김씨
- 공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2021/11/24 (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X5tot/btrfWbyRtNF/MwQXV3muxC9tMUCBCnj5Q0/img.jpg)
고당리는 옛 기록이 없어 그 연혁을 찾아보기 힘들다. 임진란 때 유(劉)씨(유득송)가 처음 이곳으로 피난을 와서 울창한 송림 속에 함지박을 만들어 팔아 생계를 유지하였다는 말만 전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일제 조정할 때 고당리라 하여 옥천군 청남면에 속해 있다가, 1929년 청성면이 생기면서 이에 속하게 되었다. 고당리라 부르게 된 것은 자연마을들을 합쳐서 한 마을로 이름 지으면서 고현(高峴)의 고(高)자와 원당(元堂)의 당(堂)자를 한자씩 취하여 고당리라 하였다. 고현(高峴)은 “높은베루”를 한자로 쓰면서 높을 고(高), 고개 현(峴), “높은 고개”라는 뜻으로 고현이라 하였는데 원뜻은 “벼루”란 옛말로 “벼랑” “언덕”이란 말이 되므로 “높은 벼랑”이란 뜻이다. 이곳 지형을 볼 때 “높은 벼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9Ixv8/btrl5n7QI3m/hI6LhzSMGNiDJP0IKTQ6yk/img.jpg)
청성면 고당리 마을초입에 있는 강릉유씨의 재실인 숭모재 마당에 자리하고 있는 강릉인 유석종의 건립공적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강릉유공석종건립공적비(江陵劉公碩鍾建立功績碑)라고 적혀있습니다. 재실을 지을 때 물심양면으로 많은 역할을 한것 같습니다. 문이 잠겨있어 자세한 내력을 살펴보지 못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PZrX/btrfG1Qy0h1/KV8qgLT1T4Hu0pnlvDB7lK/img.jpg)
청성면 구음리 비석거리에 있는 파주염씨국파공손 세거지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파주염씨 국파공손세거지지비(坡州廉氏 菊坡公孫世居之地)라고 써 있으며 비석의 건립시기는 1995년 입니다. 국파공 염국보(菊坡公 廉國寶)은 예문관대제학을 지냈습니다. 청성면 구음리는 파주염씨들이 대성입니다. 염국보는 ?∼1388(우왕 14). 고려 후기의 문신입니다. 본관은 서원(瑞原)-지금의 파주.기타 서성군(瑞城君), 기타 동당학사(東堂學士) 이며 아버지는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염제신(廉悌臣)이다. 서성군(瑞城君)염흥방(廉興邦)·염정수(廉廷秀)는 아우로서 형제가 모두 급제하였다. 이제현(李齊賢)―안보(安輔)로 이어지는 좌주문생(座主門生)의 관계였다. 학문적 경향은 성리학을 수용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안렴사(按廉使)로 지방에 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NNBO/btrlqBedfr4/ei3aHQ9XPvPdoBcgKIBFZK/img.jpg)
박곤원(朴坤元, 1477∼1607) 상서공 박선(尙書公 朴善)의 16세손으로(문원공파) 호(號)는 옥계(玉溪). 성리학(性理學)의 연구에 전념한 학자로서 후진 양성에 힘썼다. 충청북도 청원군 미원면 옥화리의 옥화서원(玉華書院)에 배향 (配享)되었다. 비석에는 옥계박곤원선생유적비(玉溪朴坤元先生遺蹟碑)라고 적혀있으며 좌,우후면에는 박곤원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비석의 건립시기는 1976년 10월3일에 건립하였습니다.옥계선생 사후인 만력임자년(1612년) 가을에 쓴 비문을 차용하여 사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