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영모재
- 각연사
- 선정비
- 문의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청풍문화재단지 비석
- 효자각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공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사인암
- 국립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부도
- 경주김씨
- 청풍문화재단지
- 선돌
- 법주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곡산연씨
- 효자문
- 여흥민씨
- 현충시설
- 사과과수원
- 충주박물관
- 밀양박씨
- 문경새재
- 공산성 선정비
- 상당산성
- Today
- 154
- Total
- 497,495
목록2021/12 (58)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일제강점기 시절인 1934년경에 건립되었으며 대문채, 사랑채, 안채, 벽돌로 축조한 광채가 있다. 안채는 전면 5칸반, 측면 2칸반으로 평면 구성은 중앙에 1칸의 대청 마루를 중심으로 서측에는 건넌방, 동측에는 웃방.안방.부엌을 배치하여 중부지역의 전형적인 민가 평면으로 구성되었다.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3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개화기 우리 한옥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건축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현재 정주영씨가 살고 있는 이곳은 그의 아버지 정구창(1910-1994) 선생이 살던 곳이다. 도이리桃李里는 ‘도리골’을 한자화하면서 한글 발음대로 도리桃李라 하였다. 그런데 도리 란 뜻은 복숭아와 오얏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어진 사람을 비유한 말이다. 용촌리에서 조 헌 사당인 후율당을 이곳으로 ..

컴안에 사진이 뒤죽박죽이다. 카테고리 목록을 만들어 정리하다보니 언젠가 어머니 생전 막내아들 좋아하는 막김치를 담으시던 어머니 손을 찍은 사진이 있네. 사랑과 정성으로 막내아들 좋아하는 막김치를 담으시던 그 시절의 어머니도 행복하셨겠지? 이런저런 이름있는 양념없이도 휘이휘이 젓기만해도 맛이나던 요술같았던 엄마의 손맛. 오늘 저녁은 어머니 생각에 빗방울이 떨어진다.

오래전 아내와 예천삼강주막을 찾던날 길가에서 만난 용궁향교 하마비입니다. 멀리 용궁향교가 보이네요 뭐가 그리 바쁜지 하마비 사진만 있고 향교를 가보질 못했네요. 늘 아쉬움입니다.

조선 광해군 1년(1609)에 서계(西溪) 이득윤(李得胤,1553~1630)이 세운 경주이씨의 정자이다. 지금의 정자는 광무 2년(1898)에 중건하고 1985년에 보수한 건물로 정면 3간 측면 1간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으로 내부는 통칸 마루를 깔고 난간을 둘렀으며, 광무 2년(1898)에 화산(花山) 권용규(權容圭)가 쓴 "추월정(秋月亭)"이란 현판이 걸려있다. 고종 20년(1883)에 덕은(德殷) 송근수(宋近洙)가 짓고 권용규가 지은 "추월정기(秋月亭記)"가 있다. 상당 동쪽에 학당산이 있어 꾸불꾸불 몇리를 이어져 옥화대가 되었다. 뭇 봉우리는 늘어섰고 계곡은 말게 휘돌며 초목은 울창하고 골짜기는 깊숙하니 곧 하나의 승경지(勝景地)라 서계 이선생이 처음 풀을 베어 거처하니 무이고사(武夷故事)를..

남이면 상발리에 있는 선은처사 유병철과 그의 아내인 효부아주신씨의 비석입니다. 비석은 단기 4336년(서기2003년)에 세운 비석입니다. 비석에는 유병철과 함께 아내인 아주신씨의 효행내력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선은처사유공병철지비배효부아주신씨(善隱處士柳公秉喆之碑配孝婦鹅洲申氏)라고 음각되어 있습니다.

구수팽은 본관은 능성(綾城) )이다.능성은 전남 화순군 능주면의 옛 지명입니다. 증조는 집의(執義) 구강(具綱)이고, 할아버지는 병조참의 구신충(具信忠)이며, 아버지는 생원(生員) 구이(具頤)이고, 어머니는 덕수 이씨(德水李氏)로 현감(縣監) 이의영(李宜榮)의 따님이다. 구수팽의 호는 신암이며 연산군6년(1500년)에 출생하여 중종14년(1519년) 기묘사화때 형 수복과 함께 이 곳 보은으로 내려와 세거하게 되었습니다. 내북면 서지리에 있는 신암 구수팽을 모신 재실입니다. 블럭담을 둘렀으며 2014년에 지은 재각 관리실이 있습니다.재실 옆으로는 구수팽의 묘지와 묘갈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신암재(新菴齋)라는 현판이 걸려있으며 재실 한편에는 신암재창건기념비(新菴齋創建紀念碑)와 위선치성비(爲先致誠碑)가 자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