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주박물관
- 보성오씨
- 화양구곡
- 사과과수원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부도
- 티스토리챌린지
- 한독의약박물관
- 효자각
- 경주김씨
- 효자문
- 밀양박씨
- 법주사
- 부여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공산성 선정비
- 곡산연씨
- 상당산성
- 단지주혈
- 공주박물관
- 사인암
- 청풍문화재단지
- 오블완
- 문경새재
- 선돌
- 국립청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각연사
- Today
- Total
목록2021/12 (5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미원면 화창리에 위치하고 있는 청주인 한상기의 사은비입니다. 한학자 한상기는 통훈대부 한규석의 장손으로 성균진사 덕유파의 종손이다. 가학(家學)에서 수학하여 문학이 충중하였고 위의(威儀)는 정중하였으며 당내는 물론 인근주민에 이르기까지 예의범절을 시범(示範)으로 교도하였다.또한 향리에서 많은 후학을 양성하여 당시의 제자들은 선생의 은혜를 잊지 않기 위하여 사은비를 화창리에 입석하였다, 비석의 전면에는 청헌한상기선생사은비(淸軒韓相基先生師恩碑)라고 적혀있으며 후면에는 비석의 건립시기(1983년)과 당시의 문하생들의 이름이 각자되어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시절인 1934년경에 건립되었으며 대문채, 사랑채, 안채, 벽돌로 축조한 광채가 있다. 안채는 전면 5칸반, 측면 2칸반으로 평면 구성은 중앙에 1칸의 대청 마루를 중심으로 서측에는 건넌방, 동측에는 웃방.안방.부엌을 배치하여 중부지역의 전형적인 민가 평면으로 구성되었다.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3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개화기 우리 한옥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건축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현재 정주영씨가 살고 있는 이곳은 그의 아버지 정구창(1910-1994) 선생이 살던 곳이다. 정주영 가옥은 처음 보아도 그리 오래되어 보이지 않는 느낌을 준다. 1930년에 건축했다는데 기둥과 목재 재질이 밝게 보인다. 안채는 정면 5칸 반, 측면 2칸의 一자형 전후 툇집으로, 중앙의 1칸 반 규..
컴안에 사진이 뒤죽박죽이다.카테고리 목록을 만들어 정리하다보니언젠가 어머니 생전 막내아들 좋아하는 막김치를 담으시던어머니 손을 찍은 사진이 있네. 사랑과 정성으로 막내아들 좋아하는 막김치를 담으시던 그 시절의 어머니도 행복하셨겠지?이런저런 이름있는 양념없이도 휘이휘이 젓기만해도 맛이나던요술같았던 엄마의 손맛. 오늘 저녁은 어머니 생각에 빗방울이 떨어진다.
오래전 아내와 예천삼강주막을 찾던날 길가에서 만난 용궁향교 하마비입니다. 멀리 용궁향교가 보이네요 뭐가 그리 바쁜지 하마비 사진만 있고 향교를 가보질 못했네요. 늘 아쉬움입니다.
조선 광해군 1년(1609)에 서계(西溪) 이득윤(李得胤,1553~1630)이 세운 경주이씨의 정자이다. 지금의 정자는 광무 2년(1898)에 중건하고 1985년에 보수한 건물로 정면 3간 측면 1간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으로 내부는 통칸 마루를 깔고 난간을 둘렀으며, 광무 2년(1898)에 화산(花山) 권용규(權容圭)가 쓴 "추월정(秋月亭)"이란 현판이 걸려있다. 고종 20년(1883)에 덕은(德殷) 송근수(宋近洙)가 짓고 권용규가 지은 "추월정기(秋月亭記)"가 있다. 상당 동쪽에 학당산이 있어 꾸불꾸불 몇리를 이어져 옥화대가 되었다. 뭇 봉우리는 늘어섰고 계곡은 말게 휘돌며 초목은 울창하고 골짜기는 깊숙하니 곧 하나의 승경지(勝景地)라 서계 이선생이 처음 풀을 베어 거처하니 무이고사(武夷故事)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