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효자각
- 사인암
- 충주박물관
- 밀양박씨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문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풍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부도
- 단지주혈
- 청주박물관
- 문경새재
- 문의문화재단지
- 각연사
- 화양동 암각자
- 공주박물관
- 법주사
- 보성오씨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구곡
- 선돌
- 오블완
- 상당산성
- 사과과수원
- 경주김씨
- 충북의 문화재
- 곡산연씨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2021/12 (5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구수팽은 본관은 능성(綾城) )이다.능성은 전남 화순군 능주면의 옛 지명입니다. 증조는 집의(執義) 구강(具綱)이고, 할아버지는 병조참의 구신충(具信忠)이며, 아버지는 생원(生員) 구이(具頤)이고, 어머니는 덕수 이씨(德水李氏)로 현감(縣監) 이의영(李宜榮)의 따님이다. 구수팽의 호는 신암이며 연산군6년(1500년)에 출생하여 중종14년(1519년) 기묘사화때 형 수복과 함께 이 곳 보은으로 내려와 세거하게 되었습니다. 내북면 서지리에 있는 신암 구수팽을 모신 재실입니다. 블럭담을 둘렀으며 2014년에 지은 재각 관리실이 있습니다.재실 옆으로는 구수팽의 묘지와 묘갈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신암재(新菴齋)라는 현판이 걸려있으며 재실 한편에는 신암재창건기념비(新菴齋創建紀念碑)와 위선치성비(爲先致誠碑)가 자리하..
보은군 내북면 서지리 산8-1번지 서갖골에 있는 능성인(綾城人) 증이조참판(贈吏曹嵾判) 구수팽(具壽彭)의 묘로서 묘갈비는 숭정대부원임의정부우찬성겸홍문관제학세자좌빈객(崇政大夫原任議政府右贊成兼弘文館提學世子左賓客) 송근수(宋近洙)가 짓고 종사랑휘경원참봉 (從仕郞徽慶園參奉) 송응수(宋膺洙) 가 쓴 것으로 1880년에 세웠다. 신암 구수팽의 묘역을 정리하는데 물심양면으로 힘을 보탠 사람들의 비석이네요 2006년에 건립하였습니다. 구수팽은 본관은 능성(綾城) )이다.능성은 전남 화순군 능주면의 옛 지명입니다. 증조는 집의(執義) 구강(具綱)이고, 할아버지는 병조참의 구신충(具信忠)이며, 아버지는 생원(生員) 구이(具頤)이고, 어머니는 덕수 이씨(德水李氏)로 현감(縣監) 이의영(李宜榮)의 따님이다. 구수팽의 호는 신..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탑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입니다. ‘탑동’의 지명유래가 된 석탑으로 결실된 기단부와 2·3·4 층의 옥신석 및 4층 옥개석을 제외하고도 현재 높이가 3.3m이니 당초에는 6m 이상 되는 장중하고 우수한 석탑이었을 것 이다. 상당구 탑동 일신여자고등학교 북쪽의 개인 주택 앞마당에 있는데, 원래는 현 위치에서 서쪽으로 약 40m 지점에 도괴되어 있던 것을 현풍곽씨(玄風郭氏)의 사효정려(四孝旌閭) 옆으로 이전 복원한 것이라 한다. 상대 갑석은 2개의 돌로 조성되었으며 밑면에는 부연이 있고 윗면에는 몰딩 1단과 그 위에 각형 1단의 받침으로 탑신을 받고 있다. 상대 갑석 위의 탑신부는 옥신과 개석이 각각 1개의 돌로 조성되었는데 1층 옥신의 4면에는 양우주가 각출되었으며 그 중앙에 ..
백족사(白足寺)는 청주시 상당구의 백족산 정상에서 서쪽 9부 능선에 해당한 곳에 자리 잡은 사찰이다.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경내에 있는 석불과 석탑 등을 통해 볼 때 고려시대 창건된 사찰임을 추정해 볼 수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과 삼성각, 요사채가 있다. 대웅전 내부에는 고려시대에 조성된 석불이 봉안되어 있으며 삼층석탑은 대웅전과 삼성각 중간에 있다. 대웅전은 1930년대에 중수한 것이며 삼층석탑은 1940년대 주지 김학수가 경내에서 석탑 부재를 발견하여 복원한 것이다. 석탑의 기단부는 결실되어 있으며 1층 탑신석으로 보이는 석재가 갑석 아래에 놓여 있다. 갑석은 일부 파손되었고 상면에 시멘트로 보강된 1층 탑신석이 있다. 2층과 3층 탑신석은 일부 파손되기도 하였으나 양 측면의..
일제강점기시대 독립운동가·역사가·언론인이었던 단재 신채호(1880∼1936) 선생의 사당 및 묘소이다. 20세에 성균관박사가 되었으며, 황성신문의 기자로 논설을 쓰며 불법적인 을사조약 체결을 단호히 배격하였고, 대한매일신보에 초빙되어 주필로서 국권회복, 민족의식 고취에 공헌하였다. 28세 무렵에 이동녕·안창호 선생 등과 함께 항일비밀결사인 신민회를 조직하였으며, 1910년 해외에 망명한 후 본격적으로 국사 연구에 힘써『조선상고사』,『조선사연구초』등의 저서들을 집필하였다. 1919년 상해임시정부수립 후에는 의정원 전원위원장으로 독립운동에 힘을 기울였고, 1929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여순(旅順)감옥에서 복역하던 중 순국하였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이 수여되었고, 1978∼1979년 사이에 묘역..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수의동관련항목 보기에 있는 천곡(泉谷) 송상현(宋象賢)[1551~1592]의 위패 모신 사당. 충렬공(忠烈公) 송상현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동래부사로서 동래성을 사수하다 순절하였다. 동래에 있던 묘소를 이장한 후 1610년(광해군 2)에 충절을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이 사당을 건립하였다. 흥덕구 수의동 강촌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이 비좁아 약 50년 전에 후손들이 원래의 위치에서 약 50m 위쪽으로 이전하여 증축하였다. 지금의 건물은 1980년대에 중수한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 반으로 된 이익공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내부는 통칸으로 된 마루방에 3개의 분합문을 달았으며 전면에 툇마루를 설치했다. 가구형식은 1고주 5량가이며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