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선돌
- 사과과수원
- 화양구곡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공산성 선정비
- 문의문화재단지
- 밀양박씨
- 충주박물관
- 법주사
- 오블완
- 상당산성
- 화양동 암각자
- 각연사
- 청풍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문
- 보성오씨
- 곡산연씨
- 경주김씨
- 부여박물관
- 부도
- 효자각
- 티스토리챌린지
- 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문경새재
- 사인암
- 공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단지주혈
- Today
- Total
목록2021/12 (5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송인수는 본관은 은진(恩津)이며, 자는 미수(眉叟), 태수(台叟), 호는 규암(圭庵)이다.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송계사(宋繼祀)의 고손이며, 정랑 송순년(宋順年)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부사(府使) 송여해(宋汝諧)이고, 아버지는 건원릉참봉(健元陵參奉) 송세량(宋世良)이다. 어머니는 유승양(柳承陽)의 딸이며, 부인은 상주목사응 지낸 권박(權博)의 딸이다. 1521년(중종 16) 별시문과에서 병과로 급제 한 후 홍문관정자(弘文館正字)가 되었다가 2년 후 사가독서하였다. 홍문관 관원들과 함께 인사 행정의 공정한 실시를 내세워 김안로를 탄핵하였다. 이어 경연의 전경(典經)을 겸임하고, 왕의 특지로 충청도 지방을 순찰한 뒤 공물·잡역의 폐해를 보고하였다. 1525년 박사로 승진하고 이어서 부수찬·수찬을 거쳐 사..
문의면 남계리 산직이마을에 위치하고 있는 조선조의 문인 송인수의 묘지밑에 있는 재실입니다. 송인수의 묘지 옆으로는 부인인 안동인 권씨의 무덤이 자리하고 있으며 옆으로는 신도비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묘지는 송림이 우거진 나즈막한 언덕에 자리하고 있으며 영모재는 묘지 바로밑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영모재라는 편액이 걸려있으며 후손들에 의하여 잘 관리되고 있습니다.
송인수의 아들로 장사랑을 지낸 송응경의 묘이며 부인인 함안박씨와 합장되어 있다.대부분의 묘지는 후대는 선대의 묘지 밑으로 조성하는것이 원칙인데 송응경의 묘는 부모인 송인수 묘 뒤로 있다. 일종의 역장인 셈이다. 꿈보다는 해몽인가? 죽어서도 자식사랑을 보여주는 부모가 아들을 업고 있는 형국이라고 풀이를 하는 경우도 있으니 세상만사 어쩌면 모두 생각하기 나름이 아닐까?
백족사에 석물이 모여있는 곳에 이끼낀 동자상이 보인다. 여러부재들을 섞어서 하나를 만든 듯 합니다. 석주형태의 둥근치석재에 남순동자라고 한글이름을 각자하여 놓았습니다. 남순동자(선재동자)는 화엄경의 입법계품에 근거하여 관음도의 오른쪽 아래에 합장하고 서 있다. 일찍이 남행하여 53위의 선지식을 두루 섭렵하고 문수·보현보살을 만나 불도를 이룬다. 동자(童子)는 동아(童兒), 동진(童眞), 동남(童男)이라고도 하는데 보살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20세 미만의 스님이 되고자 하는 어린 아이를 일컫는 말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동자상이 많이 조성된 이유는 동자의 해맑은 미소와 순수함이 부처님의 마음과 같다고 여겨져 왔기 때문이다. 남순동자는 일찍이 문수보살의 안내를 받아 53명의 선지식(善知..
사리면 소매리에 있는 단양우씨묘역에 있는 보공장군행충좌위(保功將軍行忠佐衛)를 지낸 단양인 우서부의 묘소입니다.우서부는 밑에 묘지가 있는 우영좌의 아버지입니다. 우영좌의 아들은 우순민이며 우순민의 아들은 우정침으로 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남계리는 문의면의 북쪽에 위치하며, 청주 신탄간 국도변과 청원 인터 체인지 도로변 마을로 동은 가덕면 국전리, 서는 도원리, 남은 미천리, 북은 화당리에 접해있다. 면의 최북단에 있는 마을로 남쪽 작두산 북사면 산려지역에 발달한 마을로 북은 남일면과 남이면을 경계로 하고 있다. 마을의 주된 부락은 원남계마을이며 동남쪽은 방죽골이 있고 방죽골(성북) 동남쪽에는 장자골(성남)이 있고 남서쪽에는 수여마을이 있다 송인수의 묘가 있는 마을은 화산(상지말)이라고 불리우며 원남계 서쪽에 있는 마을로 산수가 아름다워 부른 지명이다. 송씨의 묘소를 관리하는 부락으로 山支말을 말한다. 조선시대 참판을 지낸 송인수(宋離壽)의 묘가 있다.신도비는 묘옆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마을뒤 야트막한 송림이 우거진 야산에 위치하고 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