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충주박물관
- 경주김씨
- 청주박물관
- 사인암
- 화양구곡
- 곡산연씨
- 효자문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밀양박씨
- 법주사
- 화양동 암각자
- 오블완
- 선돌
- 각연사
- 티스토리챌린지
- 공주박물관
- 부도
- 상당산성
- 부여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국립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효자각
- 단지주혈
- 사과과수원
- 한독의약박물관
- 보성오씨
- 문경새재
- 충북의 문화재
- 문의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문의면 남계리 송인수신도비(文義面 南溪里 宋麟壽神道碑) 본문
남계리는 문의면의 북쪽에 위치하며, 청주 신탄간 국도변과 청원 인터 체인지 도로변 마을로 동은 가덕면 국전리, 서는 도원리, 남은 미천리, 북은 화당리에 접해있다.
면의 최북단에 있는 마을로 남쪽 작두산 북사면 산려지역에 발달한 마을로 북은 남일면과 남이면을 경계로 하고 있다. 마을의 주된 부락은 원남계마을이며 동남쪽은 방죽골이 있고 방죽골(성북) 동남쪽에는 장자골(성남)이 있고 남서쪽에는 수여마을이 있다
송인수의 묘가 있는 마을은 화산(상지말)이라고 불리우며 원남계 서쪽에 있는 마을로 산수가 아름다워 부른 지명이다. 송씨의 묘소를 관리하는 부락으로 山支말을 말한다. 조선시대 참판을 지낸 송인수(宋離壽)의 묘가 있다.신도비는 묘옆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마을뒤 야트막한 송림이 우거진 야산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송인수의 묘와 함께 부인인 권박의 딸인 안동권씨의 묘가 나란히 있으며 송인수의 묘 뒤로는 송인수의 아들인 송응경부부의 묘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송인수 신도비(神道碑)는 조선 중종 때의 명신 이었던 송인수(1487∼1547)를 기리기 위하여 그의 묘소입구에 세운 것이다.
송인수의 자는 미수(眉叟), 호는 규암(圭菴), 시호는 문충(文忠), 본관은 은진(恩津)이다.
1522년(중종17)에 문과에 급제 홍문관정자(正字), 수찬 등을 역임하였다. 대간으로 재직당시 김안로(金安老)의 재집권을 막으려다 제주목사로 좌천되고 다시 사수(泗水)로 귀양 갔다. 김안로가 제거되자 소환되어 예조참의, 승지, 형조참판을 역임한 후 성균관 대사성이 되어 성리학을 강론하였다.
인종이 죽자 화를 입을 뻔 하였으나 고향에서 수년간 지내다가 사약(賜藥)을 받고 죽었다.
비(碑)는 선생이 죽고 난 31년 후인 선조 11년(1578)에 세워졌으며 선생의 종제(從弟 )인 송기수(宋騏壽)가 지었으며 뒷면에는 종증손(從曾孫) 송시열(宋時烈)이 1669년에 지은 신도비음기(神道碑陰記)가 있다.
전체적으로 조선중기 신도비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건립당시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고, 묘소도 조선시대 묘제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문화재청]
'통합청주시 > 상당구(上黨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의면 남계리 송응경 묘지(文義面 南溪里 宋應慶 墓地) (0) | 2021.12.13 |
---|---|
가덕면 상야리 백족사 남순동자각자(加德面 上野里 白足寺 南巡童子刻字) (0) | 2021.12.12 |
탑동 곽원호묘소(塔洞 郭元浩墓所) (0) | 2021.12.11 |
탑동 곽원호,곽상조정려문(塔洞 郭元浩,郭相祚旌閭門) (0) | 2021.12.11 |
탑동 곽진은묘소(塔洞 郭鎭殷墓所) (0) | 2021.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