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각연사
- 사인암
- 상당산성
- 보성오씨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부도
- 효자각
- 사과과수원
- 국립청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곡산연씨
- 법주사
- 공산성 선정비
- 부여박물관
- 밀양박씨
- 문경새재
- 충주박물관
- 경주김씨
- 효자문
- 화양구곡
- 선돌
- 한독의약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단지주혈
- Today
- Total
목록2021/12 (5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jJOl/btrniRz6fvr/fkulrD5BhbgNO9VTTDcyj0/img.jpg)
지금의 건물은 1980년대에 중수한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 반으로 된 이익공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내부는 통칸으로 된 마루방에 3개의 분합문을 달았으며 전면에 툇마루를 설치했다. 가구형식은 1고주 5량가이며 모로단청을 하였다. 입구에는 홍살문을 세웠고, 사당 앞에는 솟을삼문을 설치하였는데 “忠烈廟(충렬묘)”라고 새긴 현판을 달았다. [현황] 충청북도 기념물 제16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2004년 청주시에서 새로 천곡기념관과 사당을 신축하여 위패를 모시게 되자, 후손들이 송상현 부인의 혼백을 모시는 사당으로 삼아서 제향하고 있다. 주변이 공원화되어 있고, 문화유산 해설사도 상주해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ipRL/btrniVbpDPl/rhCOKMibCgZpxJVxUouN30/img.jpg)
백족사는 가덕면 백족산(白足山 412m) 중턱 남쪽 기슭에 있는 사찰로 석탑은 대웅전과 삼성각 중간에 자리잡고 있다. 창건시기나 연혁을 알려주는 문헌기록은 없으나 사찰경내에 고려시대 석탑이 있고 주변에 맷돌 하대석을 비롯한 古石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창건된 사찰임을 알 수 있다. 이 石塔은 지대석으로 판단되는 판석 위에 탑신형의 中臺石과 甲石으로 이루어졌고, 初層塔身은 시멘트로 보강하였으며, 1층 屋蓋石 이상은 원래의 부재가 남아 있다. 屋蓋石에는 隅柱가 모각되어 있고 屋蓋石에는 4단의 層級 받침과 낙수홈이 조각되었으며, 낙수면은 경사가 완만한 편이다. 3층 屋蓋石은 파손이 매우 심하여 처마부분이 떨어져 나갔다. 상륜부는 모두 결실되어 복원할 때 覆鉢 등의 장식물을 모조하여 올려 놓았다. 각층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x8Ay/btrdFnIVgtR/Mk72O4hYBsJR9DkH1zSRW0/img.jpg)
조선 숙종3(1677년)에 東部主簿를 지낸 白石亭 신교(申灚 ; 1641∼1703년)가 세은 고령신씨의 정자이다. 현재의 정자는 1927년 후손들이 중건하였다. 충북 문화재자료로 2010년 12월 10일에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관정리 마을 앞 도로를 따라 마을 끝자락을 돌아가면 마을 뒷산 중턱 절벽에 바위를 의지하여 자리하고 있다. 지형상 뒤편에 산을 두고 북향하여 바위에 입지하였으며, 백석정 아래에 넓은 하천이 흐르고 있다. 건물로의 진입은 절벽 사이의 좁은 길을 따라 약 10m 정도 들어가면 일각대문이 놓이고 그 안에 백석정이 자리한다. 신교(申灚)는 1677년 낭성천(한강의 상류)의 芷潭 邊 절벽에 매달린 높은 바위 위에 백석정을 창건하여 自號로 白石亭이라 명명하고, 그곳에서 당대의 嶺南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sEYnO/btrnnDXzNS8/NnjqqNngerXPjGAGcLu2Hk/img.jpg)
청주시 상당구 탑동에 자리하고 있는 탑동오층석탑과 현풍곽씨가문의 정려와 정려비등이 자리하고 있습니다.이곳과 지근거리에는 현풍곽씨들의 무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석탑은 유형문화재로 정려비와 산소는 일괄로 묶어 기념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주위 정리정돈도 잘 되여 있습니다. 우리들의 주위에서 점차 사라지는 효의 개념에 대하여 다시 한전 생각해 보는 교육의 장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I7NA/btrnrkQbXPL/8a57eCeljRAdFKLWiOJKdK/img.jpg)
상대 갑석은 2개의 돌로 조성되었으며 밑면에는 부연이 있고 윗면에는 몰딩 1단과 그 위에 각형 1단의 받침으로 탑신을 받고 있다. 상대 갑석 위의 탑신부는 탑의 몸체[옥신]와 지붕돌[개석]이 각각 1개의 돌로 조성되었는데 1층 몸돌의 4면에는 양우주가 각출되었으며 그 중앙에 여래좌상 1구씩을 양각하였다. 이 좌상들은 모두 통견의 상으로 원형의 이중 두광이 있고 연화좌 위에 결가부좌하고 앉아 있는데 수인에서 차이를 보여 불상의 종류를 알 수 있게 해준다. 현재의 위치대로 본다면 동면의 상은 약기인을 취한 약사여래이고, 남쪽은 지권인을 하고 있는 비로자나불이며, 서면의 상은 항마촉지인을 취한 석가여래, 북면의 상은 설법인의 아미타여래이다. 이들 사방불은 시대에 따라 불상의 배치와 양식이 다르지만 이 석탑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GSgT/btrnv14U3lo/K1CbwEIJF5ExLnnj3lQIlK/img.jpg)
문의면 등동리에 있는 신천휴와 정기환을 모시고 있는 사당인 쌍천사앞에 자리하고 있는 숭덕비입니다. 천덕호경대선사정기환숭덕비(天德湖鏡大禪師鄭基煥崇德碑)라고 적혀있으며 비석의 후면에는 정기환의 행적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비석의 건립시기는 1998년 입니다. 정기환(1905~1987)은 청원군 문의면 덕유리 출신입니다.일찌기 불문에 들어서 호경(湖鏡)이란 법명으로 법주사 주지를 지낸 후 고령인 신천휴와 함께 향리에서 많은 사람들의 문맹을 퇴치시키는데 일임을 하였습니다. 이에 그의 문하생 들이 그의 덕을 잊지않기 위하여 비석을 세웠습니다.쌍천사는 1995년에 시작하여 1998년에 완공되었으며 쌍천사 건립과 함께 비석도 같이 세워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