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여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법주사
- 효자각
- 티스토리챌린지
- 한독의약박물관
- 사인암
- 청풍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상당산성
- 사과과수원
- 화양구곡
- 충북의 문화재
- 효자문
- 오블완
- 경주김씨
- 공주박물관
- 단지주혈
- 공산성 선정비
- 곡산연씨
- 각연사
- 부도
- 밀양박씨
- 문의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선돌
- 화양동 암각자
- Today
- Total
목록2022/11/23 (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문의문화재단지 공덕비중에 자리하고 있는 창원인 황계하의 선정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현령황후계하애민선정비(縣令黃侯啓河愛民善政碑)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황계하는 창원인으로 1669년 기유년(헌종10)에 태어 났으며 자는 성운입니다.아버지는 황흠이며 조부는 황신구입니다.조선중기 숙종시절의 관료입니다. 승정원일기 416책 (탈초본 22책) 숙종 30년 2월 10일 경진 14/14 기사 1704년 康熙(淸/聖祖) 43년.韓在垣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吏批, 成均博士單韓在垣, 校書著作單孫騎龍, 李允文爲司成, 金演爲刑曹參判, 金鎭圭爲右尹, 黃啓河爲文義縣令, 李東彦爲文學, 權世恒爲司書, 李晩成爲司諫, 沈宅賢爲正言, 金相稷爲輔德, 趙泰采爲判尹, 李觀命爲校理。
현령이후위재애민선정영세불망비(縣令李侯渭在愛民善政永世不忘碑)라고 적혀있다.비석의 재질이 좋치않아 파손의 속도가 빠르다.조선조때 문의현령을 지낸 이위재의 영세불망비이다.원래 두모리 입구에 있던 비석이였는데 도로확장 공사로 인하여 현 자리로 이건하였다.비석을 가까운 문의 문화재단지등으로 이동하여 보존하였으면 하는 사견이다. 비석을 바라보며 가장 우측에 자리한 비석이다. 현령 이위재의 불망비는 문의 문화재단지 비석거리에 2기 자리하고 있다.
문의문화재단지 비석군내에 자리하고 있는 조선 헌종대 문의현령을 지낸 이관재의 선정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현령이후관재선정비(縣令李侯觀在善政碑)라고 각자되어 있으며 비석의 건립시기는 함풍2년(1852년)입니다.이관재는 그 후 괴산군수(1851년)등도 역임하였습니다. 승정원일기 2461책 (탈초본 120책) 헌종 13년 5월 28일 병오 9/16 기사 1847년 道光(淸/宣宗) 27년. 吏批의 관원현황○ 有政。 吏批, 行判書徐憙淳進, 參判韓鎭庭, 參議李公翼, 竝牌招不進, 左副承旨趙秉恒進。 以金始淵爲刑曹參議, 吳取善爲大司成, 金章淳爲社稷令, 朴慶善爲司圃別提, 申命濂爲司饔主簿, 朴齊寅爲南部都事, 洪運謨爲文川郡守, 李觀在爲文義縣令, 兼纂輯記注官單金翊鎭, 兼養賢奉事單金文煥。 현령(縣令)은 조선시대 동반(東班:文官..
문의문화재단지내 비석군에 자리하고 있는 문의현령을 지낸 사람의 불망비입니다. 후대에 사람들에 의하여 이름이 훼손되었습니다. 현령 * 후 ** 영세불망비( 縣令 * 侯 * * 永世不忘碑)라고 각자되어 있으며 비석의 건립시기는 자세하지 않치만 무술년(戊戌年)으로 추정이 됩니다. 무술년전후로 문의현령을 조사해보아도 아구가 많는 사람이 없습니다. 비석건립년도도 다시 한번 현장에서 잘 확인해봐야 겠습니다.
문의문화재 단지 공적비군에 자리하고 있는 문의현령을 지낸 황기협의 선정비입니다. 비석에는 현령황후기협선정비(縣令黃侯基協善政碑)라고 적혀있으며 비석의 건립시기는 도광8년 (1828년)입니다. 특이하게도 이비석에는 善자의 속자를 적어놓았다. 승정원일기 2217책 (탈초본 112책) 순조 27년 5월 22일 정유 18/24 기사 1827년 道光(淸/宣宗) 7년朴綺壽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以朴綺壽爲吏曹參判, 黃基協爲文義縣令, 吳泰重爲昌寧縣監, 贈吏參柳宗春贈吏判例兼, 工曹判書柳相祚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