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화양구곡
- 오블완
- 공산성 선정비
- 충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충북의 문화재
- 화양동 암각자
- 한독의약박물관
- 곡산연씨
- 티스토리챌린지
- 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경새재
- 선돌
- 법주사
- 공주박물관
- 효자문
- 각연사
- 밀양박씨
- 부도
- 보성오씨
- 부여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각
- 경주김씨
- 국립청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사인암
- Today
- Total
목록2024/03/09 (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FA3U/btsFDVdO5BK/Gt6GTpLQkjkC7EuCpEPT91/img.jpg)
군서면 사정리 사기점 마을입구에 있는 강인숙의 불망비입니다. 강공인숙불망비( 姜公寅淑不忘碑 )라고 적혀 있습니다. 마을발전에 열심을 내었던 강인숙의 공을 잊지않기 위하여 마을입구에 세웠습니다. 옆에는 사기점마을 유래비가 서있습니다. 비석의 건립시기는 임인년(壬寅年)으로 비석등의 상태로 보아 1962년으로 추정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Juhpw/btsFCedRm8y/i11Z5ZM1vmDtIeuSn7uAI1/img.jpg)
군서면 사정리 마전마을 앞에 있는 비석 2기입니다. 마전동(麻田洞)은 조선시대 유명한 풍수가인 토정 이지함 선생이 얽힌 전설을 간직한 곳입니다. 군서면에는 군서 8명당이란 것이 있는데 그중의 하나가 ‘작약미발(芍藥未發, 함박꽃 봉오리 모양의 지형)’이고 사정리와 뒷산인 홍산의 형세가 그에 해당한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마전마을 앞에는 1914년에 세운 김기영선생과 1930년에 세운 김성희선생의 송덕비가 나란히 있다. 김기영선생과 김성희선생은 군서면에 극심한 흉년이 들었을 때 자신의 재산을 풀어 세금을 대신 내주고, 양식을 주는 등 선행을 베풀었다고 전한다. 오위장김공기영송덕비( 五緯將金公基榮頌德碑)라고 적혀있으며 비석의 건립시기는 大正3年(1914)입니다. 김기영 (1825.12.3 ~ 1914.12.16..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ceO0S/btsFE1EmHhm/iGKE5sj2FGcoh61wVskHyK/img.jpg)
옥천군 군서면 오동리 사거리에 위치한 미성식당 햔켠에 자리하고 있는 군수를 지낸 한상욱의 청근선정비입니다. 한상욱의 옥천군수 재임기간은 1966.03.29 ~ 1968.04.30일 입니다. 비석의 건립시기는 무신3월(1968)입니다.주민일동의 이름으로 건립하였습니다.비석의 전면에는 군수한후상욱청근선정비( 郡守韓侯相彧淸勤善政碑)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오동리라 부르게 된 것은 풍수설에 군서 8명당 중의 하나인 ‘오동제월(梧桐霽月)’이라는 명당이라 하여 오동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오동리는 1908년 군서면을 일소면, 이소면으로 나뉘었다가 1914년 군서면으로 통합한 후인1930년대 중반까지도 오동리에 군서면사무소와 군서주재소가 있었다. 군서면사무소는 1935년께 현재의 소재지로 이전했다. 오동리는 특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