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보성오씨
- 곡산연씨
- 상당산성
- 경주김씨
- 화양동 암각자
- 법주사
- 사과과수원
- 문의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사인암
- 선돌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각연사
- 밀양박씨
- 부여박물관
- 효자문
- 공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단지주혈
- 화양구곡
- 청풍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오블완
- 효자각
- 부도
- 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문경새재
- Today
- Total
목록중원의 향기 (838)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1951년에 창건되었다. 사찰 입구에 높이 140㎝의 석불 입상이 있다. 태고종 계열이다 현재는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는 듯 많이 쇠락하였다 간신히 절의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듯 하다 주위에 있는 석탑과 더불어 동네 이름이 탑동인 연고로 봉불사가 있기전 이곳에 사지가 있지 않았나 생각..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 봉불사에 있는 조선시대 석조여래상.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 탑동에는 1951년에 창건했다는 봉불사가 있는데, 대웅전 옆 작은 마당에 이 불상이 서 있다. 불상의 원래 위치는 확인할 수 없으나 봉불사의 창건과 동시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왔다. 봉불사 근처의 삼층석탑이 있고 탑동이라는 마을 이름이 붙여진 것을 보면 부근에 사지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봉불사 석조약사여래입상은 최근에 보수한 시멘트 대좌 위에 세워져 있으며, 높이 140㎝, 어깨 폭 50㎝로 아담한 규모의 불상이다. 머리에는 약간 높은 육계가 있고 나발이 표현되었으며, 이마에는 백호의 흔적이 있다. 얼굴은 원만하나 마모가 심하여 정확한 형태를 알 수 없다. 목은 시멘트로 보강하였고 뒷면은 평면적으로 처리되었다...
[정의] 조선 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열녀. [가계] 본관은 광주(廣州). [활동사항] 임호현(林浩鉉)의 처 광주안씨는 자세한 행적은 알 수 없으나 효행비문에 의하면 양이삼성(養以三省)·원자백행(源自百行)·언필화완(言必和婉)·심근성경(心根誠敬)의 효행이 있었다고 한다. [상훈과 ..
[정의]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효자. [가계]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계영(繼榮).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임황(林篁)이고, 형으로는 병마절도사 충민공(忠愍公) 임경업(林慶業)과 임승업(林承業)이 있다. [활동사항]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당시 형인 임승업이 맹산 수령으로서 출전한 뒤 형 대..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전기 석조 보살좌상. [개설] 성불사 석불좌상은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의 성불사에 있던 불상으로 현재 충주박물관 야외전시실로 이전, 전시되고 있다. 불정면은 행정구역상 괴산군에 속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