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충주박물관
- 사인암
- 법주사
- 충북나그네
- 단지주혈
- 부여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보성오씨
- 각연사
- 오블완
- 밀양박씨
- 화양구곡
- 충북의 문화재
- 상당산성
- 효자각
- 국립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부도
- 선돌
- 경주김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경새재
- 티스토리챌린지
- 효자문
- 공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문의문화재단지
- 사과과수원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 (317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에 있는 고려 전기의 돌다리. 진천농교(鎭川 籠橋)는 진천읍을 관통하는 백사천과 이월면을 적시는 덕산 한천천이 합류해 흐르는 백곡천에 놓인 돌다리이다. 농다리·수월교라고도 하며, 지네를 닮았다고 하여 지네다리라고도 불린다. 1976년 12월 21..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석조 불상.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산 7번지에 있는 태화 4년명 마애불입상은 통일신라시대인 830년(흥덕왕 5)에 조성되었으며, 1981년 5월 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91호로 지정되었다. 국가 소유로 진천군에서 관리하고 있다. 진천 태..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 영수사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 불상.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 산 542번지 영수사 관음보전에 봉안된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백련암에서 옮겨온 것이라 하며, 조선 후기에 조성된 것이다. 높이 90㎝의 영수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목불로 도금이 되어 있고, 불두에는 근래에 제..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용몽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덕산면장 이계창의 선정비. 이계창(李啓昌)은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 진천군 덕산면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이계창은 1922년 덕산면 석장리 조광호가 사유지 22,070㎡를 희사해 옥동초등학교를 개교하였을 당시 면내 유지들로부터 1만여 원을 모금하였다. 이계창 선정비는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용몽리 덕산면사무소 내에 위치하고 있다. 방형대석 위에 가첨석[지붕돌]을 얹은 형태로 높이 128㎝, 두께 24㎝이다. 이계창 선정비 앞면에는 ‘덕산면장 이공 계창 불망비( 德山面長李公啓昌不忘碑)라고 적혀있으며 옆면에는 비석의 건립시기인 서기일구이구년 기사 월일( 西紀一九二九年己巳月日)’이라고 새겨져 있다. 이계창 선정비는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용몽리 덕산면사무소 안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금석문 조선 후기 명신 명곡(明谷) 최석정(崔錫鼎)[1646~1715]은 남구만(南九萬)과 박세채(朴世采)의 학문을 이었으며, 현종·숙종 대에 고위 관료로 활동하였다. 만년에 낙향하여 금곡에 태극정(太極亭)을 짓고 후학을 양성하였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