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보성오씨
- 공주박물관
- 단지주혈
- 경주김씨
- 문의문화재단지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동 암각자
- 국립청주박물관
- 화양구곡
- 효자각
- 밀양박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한독의약박물관
- 부도
- 충주박물관
- 곡산연씨
- 공산성 선정비
- 선돌
- 상당산성
- 효자문
- 충북의 문화재
- 각연사
- 사과과수원
- 청주박물관
- 법주사
- 청풍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문경새재
- 사인암
- Today
- Total
목록강릉김씨 (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강릉김씨 오효비는 괴서당말 마을중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이 곳은 경헌정사라 불리우던 서당이 있던 곳으로 1930년경 일제강점기 시절 에는 노현학술강습소가 있어 초급과정의 교육을 가르키던 곳입니다.현재 마을회관과 오효비가 있는 동네이며 강릉김씨의 집성촌입니다. 강릉김씨오효비는 강릉김문가에서 배출된 효자와 충신등 다섯분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관의 협조하에 강릉김문에서 세웠습니다. 오효자(五孝子)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김성태는 1828년에 조봉대부,동몽교관에 증직되었습니다 김추진은 1833년에 조봉대부,동몽교관에 증직되었습니다. 김계홍은 통덕랑으로 1891년에 효자정려를 받았습니다. 김학룡은 장사랑으로 1857년에 청주영읍에서 포양하였습니다. 김병위는 1878년에 청주영읍에서 포양하였습니다. 강릉김씨..
내수읍 도원리는 대부분 낮은 구릉지이다. 덕암천이 관류하며, 천 주변에 숫들, 홈뿌리들 등이 있다. 자연마을로는 도원리, 아랫말, 은행정이, 중간말 등이 있다. 도원리는 복숭아나무가 많이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아랫말은 도원리 아래쪽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은행정이는 큰 은행나무가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중간말은 상촌과 아랫말 중간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강릉김씨 열녀비는 도원리 가온누리 어린이집 입구 옆에 자리하고 있다.비석의 위치등으로 보아 사람들의 통행이 거의 없으니 눈길에서 멀어진 듯 하며 좁은길가 귀퉁이에서 세월을 깁고있다. 일제강점기에 열녀로 칭송받던 강릉김씨의 열녀비이다.여흥인 민영석(閔泳錫)이 찬(撰)하고 초계인 변영인(卞榮寅)이 글씨를 썼다. 비 앞면에 ‘열녀유인..
조선시대에 노현리에 자리잡은 강릉김씨 가문이 배출한 충신과 효자 다섯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이다. 강원도 강릉(江陵)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로 시조는 김주원(金周元)이다 김알지(金閼智)를 시조로 하는 경주김씨(慶州金氏) 무열왕(武烈王)계의 성씨이다. 시조는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사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김덕숭의 정려. 조선 세종 때 한산군수를 지낸 김덕숭은 효심이 대단했다. 엄동설한에 병환으로 고생하던 어머니가 잉어를 먹고 싶어 해서 지금의 백곡저수지 아래 여계소(女溪沼)에 내려가 얼음 위에 무릎을 꿇고 며칠간 기도를 올렸는데, 무릎 자리가 녹아 생긴 구멍으로 잉어 2마리가 나와 1마리는 살려주고 다른 1마리를 가져와 어머니께 고아 드렸더니 병환이 씻은 듯이 나았다는 일화가 전한다. 세종은 김덕숭이 세상을 떠난 1448년(세종 30) 그의 효행을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에 기록하고 정려(旌閭)를 건립하게 하였다. 김덕숭 효자문은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사곡리 산50번지에 위치한다. 진천군청에서 벽암사거리를 거쳐 장수로 장관리 방면으로 우회전한 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