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선돌
- 사인암
- 한독의약박물관
- 충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보성오씨
- 오블완
- 청풍문화재단지
- 법주사
- 곡산연씨
- 밀양박씨
- 효자각
- 부여박물관
- 사과과수원
- 단지주혈
- 충북의 문화재
- 공산성 선정비
- 부도
- 각연사
- 국립청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문경새재
- 충북나그네
- 경주김씨
- 효자문
- 화양구곡
- 문의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Today
- Total
목록단군전 (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주덕읍 삼청리 묵동마을 뒤에 천제단비가 있다는 주덕읍지의 글을 보고 한번 찾아볼까 하는 생각에 길을 나섰다.묵동마을 뒷쪽 어래산 중턱에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묵동(墨洞)[먹벅골]은 능촌 남동쪽에 있는 마을. 옛날에 홍(洪) 모씨가 먹을 만들었다한다. 행정명은 묵동이나, 통칭 먹벅골이라 한다.먼저 성지사라는 절을 찾아 산길을 올랐다. 성지사로 향하는 길은 좁은 산길이었는데 성지사 밑에 도착하니 길 양옆으로 전원주택이 제법 자리를 잡았다.고만고만한 집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것이 좋아 보인다. 누군가가 택지를 개발하여 전원주택지구를 만든 듯 하다. 성지사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성지사 대웅전을 뒤로하여 길을 올랐다.이 곳도 택지개발을 하려는 듯 여기저기 파헤쳐 놓은 흔적이 보인다.성지사도 새로 불사를 했는지..
먹벅골의 동쪽 언덕에 있습니다. 1984년에 이 마을의 학자 원용선이 세우고 단군의 영정을 모시고 있다. 전각 앞에 “조선개국단군성모비(朝鮮開國檀君聖慕碑)"가있다. 해마다 양력 10월 3일 개천절(開天節)에 제를 올립니다. 단군전의 정면 우측에 단기 4281년에 조성되었고, 비문은 ‘조선..
증평1리에 있는, 국조 단군을 모시는 사당(祠堂)이다.원래 이 곳은 일제강접기 시절 일제의 신사가 있던 자리였다.현재는 단군전이 자리하고 있으며 단군전 앞으로 공원도 만들어 놓아서 주민들의 쉼터로 이용되고 있다. 단군전 문인 홍익문 앞으로는 단군상과 단군전 건립에 물심양면으로 힘을 쓴 김기석선생의 공적비도 자리하고 있다. 단군전은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이념과 경천숭조사상(敬天崇祖思想)을 길러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기 위해 건립되었다. 1929년에 일제는 이곳에 일본 신사(神祠)를 세웠으나, 1945년 8월 16일 광복 이튿날에 청년들에 의해 불타 없어졌다. 1948년 5월 27일에 김기석(金基錫: 1897~1978) 씨 등 증평 지역의 유지들이 그 자리에 단군전을 건립하였다. 단군전은 정면 3칸ㆍ측면 ..
주덕읍 삼청리에 위치한 단군전 입구에 있는 조선개국단군성모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