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각연사
- 밀양박씨
- 티스토리챌린지
- 문경새재
- 보성오씨
- 청풍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사과과수원
- 선돌
- 단지주혈
- 오블완
- 곡산연씨
- 효자문
- 공주박물관
- 사인암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여박물관
- 화양구곡
- 효자각
- 경주김씨
- 청주박물관
- 부도
- 충북의 문화재
- 화양동 암각자
- 공산성 선정비
- 문의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법주사
- Today
- Total
목록사당 (1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 있는 초계정씨의 중시조를 봉안한 사우. [개설] 도장사에는 취금헌(醉琴軒) 박팽년(朴彭年), 죽계(竹溪) 정창(鄭昌), 우헌(愚軒) 정덕기(鄭德麒), 정국주(鄭國柱), 정국추(鄭國樞), 정국량(鄭國樑), 정국로(鄭國櫓), 정국빈(鄭國彬) 등 여덟 사람을 봉안하고 있으며 매년 3월 중정(中丁)과 9월 중정(中丁)에 제사하고 있다. [변천] 도장사는 조선 숙종조에 창건되었으나 대원군 때 철폐되었다가 1965년 후손과 지방 유림들이 다시 세웠다. 1975년 중수하였다. [형태] 정면 3칸, 측면 2칸, 약 70㎡ 규모의 겹처마 팔작지붕 목조 기와집이다. 솟을삼문이 세워져 있으며 사우 전면에 도장사(道莊祠)라 쓴 편액이 걸려 있다. 전체 면적은 약 800㎡이다. 도청리 ..
조선 후기 문중의식과 조상숭배의 일면을 보여주는 사료라고 할 수 있다. [정의]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개설] 조선시대에는 국가적 차원에서 공신들의 충절을 높이 기려 이들의 관직을 추증하면서 시호를 내리고 사당을 짓도록 하였다. 지방에서는 유림..
미원면 금관리에 있는 함양박씨의 사당이다 옆에는 박준덕 효열정려각이 자리하고 있다 앞으로는 금관림이 자리하고있다
숭현사는 조선 숙종 42년(1717)에 괴산군수(傀山郡守) 서계(西溪) 이득윤(李得胤, 1553∼1630), 주일재(主一齋) 윤승임(尹昇任, 1583∼1688), 옥계(玉溪) 박곤원(朴坤元, 1477∼1607), 사헌집의(司憲執義) 만둔암(晩遯庵) 윤사석의 위폐를 봉안하고 세운 사당이다. 고종 8년(1871) 사원훼철령으로 철폐되었다가 1989년에 다시 세우고 매년 음력 3월 중정일에 향사하고 있다. 지금의 사당은 1989년에 다시 세운 건물로 정면 3간, 측면 1간반 홑처마 맞배지붕의 목조기와집으로 내부는 통칸 양회방에 3개의 쌍문을 달고 "숭현사(崇賢祠)"라는 편액을 달았으며 마당 앞에 "옥화서원(玉花書院)" 편액을 내걸은 솟을대문을 세우고 담장을 쌓았다. 그리고 사당 앞에는 정면 3간, 측면 1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