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산성 선정비
- 문의문화재단지
- 사인암
- 효자문
- 청주박물관
- 부도
- 청풍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상당산성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곡산연씨
- 효자각
- 티스토리챌린지
- 각연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선돌
- 오블완
- 공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문경새재
- 사과과수원
- 단지주혈
- 보성오씨
- 화양구곡
- 법주사
- 한독의약박물관
- 밀양박씨
- 화양동 암각자
- Today
- Total
목록사인암 (2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사인암밑을 흐르는 시내물가에 5*3미터되는 평평한 비위에 장기판과 함께 바둑판이 새겨져 있으며 그 옆에 란가장(爛柯狀)이란 글씨가 남아있다. 란가장이라 쓰여진 바위에는 바둑판이 새겨져 있고 그 옆 비슷한 바위에는 장기판이 새겨져 있다. 난가(爛柯)라는 말이 있다. 난(爛)은 문드..
청련암 삼성각 오르기전에 좌측벽에 새겨져 있습니다. 대강면 사인암리 사인암의 절벽에 있는 암각자로 가로 151㎝, 세로 56㎝이다. 조선 영조시대에 원령(元靈) 이인상(李麟祥)과 윤지(胤之) 이윤영(李胤永)이 이름을 짓고 새긴 것이다. 암각내용 : 有暖芬盡有色芙雲華之石愼慕鐫名元靈雲..
사인암 뒷쪽으로 예전에 서벽정이 있던 자리에 있는 청련암의 부속건물인 삼성각 근처의 암벽에 새겨진 암각자입니다. 대강면 사인암리 사인암 절벽에 있는 대형 암각자이다. 가로 100㎝, 세로 180㎝의 웅장한 전서체의 글씨는 보는 사람을 압도한다. 커다란 글씨의 아래에 작게 '운수(雲..
비가 내리는 날. 아내와 함께 사인암을 찾았습니다. 물 흐르는 소리도 듣기가 좋고 한적하니 참 좋았습니다.
대강면 사인암리 사인암 절벽에 가로 67㎝, 세로 105㎝의 크기로 새겨진 암각자이다. 사인암 절벽의 뒤쪽 산신각 옆에 새겨진 이 암각자는 낙관이 정이(正而)라고 되어 있어서 조선 영조 때 단양군수를 역임한 조정세(趙靖世)가 새긴 것임을 알 수가 있다. 조정세는 영조 42년(1766)에 능영정(..
역동 우탁 선생의 행적을 기록한 이 기적비는 그가 청유하였다는 사인암(대강면 사인암리)에 있다. 건립 연도는 1974년이며 글쓴이는 김우규이다.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기적비는 사인암이 보이는 냇가에 소나무와 어우러진곳에 자리하고 있다. 於戱易之義其大矣至矣乎哉我祭酒文僖公禹先生博通經史尤深於易故諸遺史嘗奉使中州天子賜之以易又與其學士論其疑學士大驚曰吾易東矣則易之東先生而至退陶李子尊之爲百世師範設易東書院以獨祀之自是後之學者稱之爲易東先生錦溪黃先生俊良之丹陽也重鄕校立小祠於其傍以祀先生以規模儀典一出於退陶所指敎者益以丹爲先生鄕也今丹陽郡李永得與鄕儒爲先生樹紀念碑於校宮之前康秉殷池聖準等諸銘於家源其辭曰宇內萬學儒經最易與範也爲大範云箕來實芒杳易之東傳史甚暾祭酒先生麗士寥寥千載獨壇美程傳初到無知者究?月而得之也?哉先生丹之産雲林淸福無限退陶會想道妙錦祠傍子廟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