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오블완
- 화양구곡
- 밀양박씨
- 한독의약박물관
- 문경새재
- 공산성 선정비
- 국립청주박물관
- 상당산성
- 법주사
- 청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사인암
- 효자문
- 화양동 암각자
- 곡산연씨
- 충북의 문화재
- 충주박물관
- 부도
- 청풍문화재단지
- 단지주혈
- 사과과수원
- 공주박물관
- 각연사
- 경주김씨
- 보성오씨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선돌
- 효자각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외암마을 (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외암마을을 휘이 한바퀴돌다가 야트막한 야산에 노송이 우거진곳이 보인다 외암 이간선생의 묘소이다.세월을 입은 노송들이 군락을 이루고 그 사이에 넒은 자리에 자리하고 있다. 1677(숙종 3)∼1727(영조 3).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공거(公擧), 호는 외암(巍巖)·..
전국방방곡곡/여기저기
2018. 1. 27. 15:40
이간의 신도비는 외암마을 입구에 자리하고 있다. 이간(李柬)은 조선 후기의 학자. 송시열의 학맥을 이은 서인 산림 권상하의 뛰어난 제자로서,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서울 주변 학자들의 학설인 낙론(洛論)을 이끌었으며, 이것은 북학파에게 이어져 전통적 화이론(華夷論)의 극복에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이간(1677-1727)본관 예안(禮安). 자 공거(公擧). 호 외암(巍巖)·추월헌(秋月軒). 시호 문정(文正). 송시열(宋時烈)의 학맥을 이은 서인 산림(山林) 권상하(權尙夏)의 뛰어난 제자로서,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1710년(숙종 36)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장릉(莊陵)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1716년 산림직(山林職)인 세자시강원 자의(諮議)에 ..
전국방방곡곡/여기저기
2018. 1. 22. 1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