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청풍문화재단지
- 효자각
- 국립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청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단지주혈
- 한독의약박물관
- 부도
- 각연사
- 공주박물관
- 경주김씨
- 법주사
- 화양동 암각자
- 사과과수원
- 오블완
- 상당산성
- 화양구곡
- 곡산연씨
- 티스토리챌린지
- 보성오씨
- 문의문화재단지
- 사인암
- 선돌
- 부여박물관
- 밀양박씨
- 효자문
- 문경새재
- 충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Today
- Total
목록이상설 (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이월면 산척리에 있는 보재 이상걸 선생의 생가와 사당 그리고 묘지와 함께 근간에 세운 박물관이 있습니다. 이상설의 호는 보재(溥齋)이고, 자는 순오(舜五)이다. 선생은 학자인 이행우(李行雨)의 아들로 태어나 1894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교수, 한성 사범학교 교관 등을 역임하였다. 7개 국어를 구사하였고 이시영, 이규형 등과 신학문을 공부하였다.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자 무효를 상소하고 자결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북간도 용정을 중심으로 자녀교육과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1907년 고종의 밀서를 가지고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 조선이 독립국임을 알리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917년 니콜리스크에서 생애를 마칠 때까지 전 생애를 바쳐 조국의 국권회복과 나라의 독립을 위해 힘썼..
[개설] 이상설(李相卨)은 1870년 음력 12월 7일,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산척리 산직마을에서 아버지 이행우(李行雨)와 어머니 벽진이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경주이고, 자는 순오(舜五), 호는 부재(溥齋)이다. 고려 말 대학자인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23대손이다. [풍찬노숙하며 독..
[정의]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진천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순오(舜五), 호는 보재(溥齋)이다. 1870년(고종 7) 12월 7일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 산직마을에서 이행우(李行雨)의 아들로 출생하였으며, 전 이조참판 이용우(李龍雨)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활동사항] 1894년..
[정의]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에 있는 독립운동가 이상설을 기리는 유허비. [개설] 이상설(李相卨)[1870~1917]의 자는 순오(舜五), 호는 보재(溥齋)이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조약의 폐기를 상소하였고, 일제강점기 국권 회복을 위해 노력하다가 1917년 3월 니콜리스크에서 세상을 떠났다. 1962년 대..
정의]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에 있는 독립운동가 이상설의 생가. [개설] 이상설(李相卨)[1870~1917]의 자는 순오(舜五), 호는 보재(溥齋)이다. 1907년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정사로 파견되었으며, 전 생애를 바쳐 나라의 독립을 위해 힘썼다. [위치] 이상설 생가는 충청북도 진천군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