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밀양박씨
- 곡산연씨
- 경주김씨
- 한독의약박물관
- 법주사
- 상당산성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티스토리챌린지
- 부도
- 문의문화재단지
- 보성오씨
- 오블완
- 선돌
- 화양동 암각자
- 효자각
- 사인암
- 충북의 문화재
- 각연사
- 충주박물관
- 화양구곡
- 단지주혈
- 국립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공산성 선정비
- 사과과수원
- 문경새재
- 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효자문
- 공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이인좌의 난 (10)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상봉고개는 것대산 봉수대 입구에 해당하는 해발 300m의 고개이다. 청주성(淸州城)이 이인좌(李麟左) 일당에게 유린당할 때, 군관(軍官) 홍림(洪霖)은 그의 첩 해월에게 유복자를 부탁하고 전사한다. 해월은 아들을 순산하고 홍림의 유지를 따른다. 청주 영기(營妓)에 속해 있던 관기, 해월은 영장(營將) 남연년(南延年)의 주선으로 홍림의 애첩이 되었다. 당시 홍림은 노모를 모시고 있었는데, 그 효행이 지극하여 모든 사람들로부터 효자 라는 칭송을 받았다. 그러나 슬하에 혈육이 없어 노모는 항상 그것을 염려하였다. 그런데 마침 해월이 잉태를 하였고, 홍림과 노모는 하루 속히 해월이 해산하기만을 고대하였다. 상당산성과 이인좌와 이봉상. 상당산성과 이인좌와 이봉상.[이봉상,남연년,홍림 의 위패가 있는 표충사..

이 충신각은 조선 고종 2년(1865)에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백면선생으로 의병을 일으켜 반란적과 싸우다가 전사하여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증직된 충신 경주인(慶州人) 낙당(樂堂) 김한정(金漢廷, 1688∼1728)의 충절을 기리어 세운 정려이다. 지금의 충신각은 1960년에 보수한 건물로 정면 1간, 측면 1간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김한정(金漢廷, 1664~1731)조선조 충신. 본관 경주. 자 윤하(允河), 호 악당(樂堂). 청원군 북이면 석성리 출신. 계림군(鷄林君) 김균(金稛)의 11세손이며 부친은 증가선대부 봉직(鳳稙), 어머니는 진주강씨(晉州姜氏)이다. 1728년(영조 4) 이인좌는 종실(宗室) 밀풍군(密豊君) 탄(坦)을 추대하면서 반란을 일으켜 청주성을 습격하였다. 충청도 병마..

조공중태충효양전비(趙公重泰忠孝兩全碑)라고 음각되어 있으며 비석의 건립은 숭정후4병인년 12월(1886년)로 되어있습니다 조중태는 양주인으로 무신란(李麟佐의 亂)때 창의사 박민웅과 뜻을 같이하여 청주에서 난을 진압하는데 많은 공을 세웠다. 이 비석은 나라에는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도하였다는 의미의 충효양전비입니다.명암타워 산책길 한켠 소나무 밑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양주인 판관 조중태에 대한 기록을 살펴보면 조선왕조실록 영조5년4월에 무신란을 평정하고 무신란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관직이나 쌀 또는 옷감등을 하사하는 대목이 나옵니다. 영조실록 22권, 영조 5년 4월 6일 경진 1번째기사 1729년 청 옹정(雍正) 7년 대신과 비당을 인견하고 《서정록》을 올리라고 명하다. 이태좌가 군공의 별단을 올리다 출신..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외북동에 있는 김상남과 그의 며느리 김해김씨의 정려각.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반란군의 진영에 뛰어들어 반란군의 불충을 꾸짖다 희생된 김상남의 충절을 기리고, 세 차례나 손가락을 자른 피로 남편을 살린 김상남의 며느리이자 김여산(金如山)의 부인인 김해김씨의 지극한 효성을 기리기 위하여 1883년에 세운 정려문이다. 흥덕구 외북동 북리마을 중앙에 보호수로 지정된 큰 느티나무가 있는데 그 옆에 있었다가 청주산업단지 조성으로 이곳 가덕면 청용리로 2019년에 이건하였다. 건물은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구성된 이익공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으로 북쪽을 향하고 있다. 넓은 사각대석 위에 약 1m 가량의 팔각 고주를 놓고 그 위에는 둥근 기둥을 세워 모로단청을 하였다. 사면을 홍살로..
상노리 경로당입니다 남연년의 충신각은 이 경로당 뒷편에 있습니다. 남연년은 감찰 두명(斗明)의 아들로 음성군 원남면 상로리 천복동(天卜洞)에서 출생하였는데 젊고 어렸을 때부터 강개한 대절이 있어 한서(漢書)를 읽고 무에를 연마하였다. "대장부가 어찌 눈을 씹어먹고 담비털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