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문경새재
- 충북의 문화재
- 선돌
- 부도
- 각연사
- 사과과수원
- 한독의약박물관
- 효자문
- 화양동 암각자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공산성 선정비
- 사인암
- 청주박물관
- 경주김씨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법주사
- 효자각
- 부여박물관
- 곡산연씨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구곡
- 충주박물관
- 상당산성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보성오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국립청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충민사 (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V0Rj/btslS56YaTY/egzXMPJaXklKB1qpH07UJ1/괴산 096.jpg)
괴강다리를 건너 감물쪽으로 길을 따라가면 이탄교를 지난다. 취묵당은 이탄다리를 건너 강둑으로 난 길을 따라 가는길도 있지만 이탄다리를 건너지 말고 감물쪽으로 조금 더 내려가면 좌측으로 임진왜란때 진주목사로 순절하여 영의정에 추증되였던 김시민장군의 사당인 충민사로 들어가는 입구가 있다. 충민사도 구경하며 충민사와 작은동산 하나 사이로 둔 취묵당을 찾는길이 더욱 아기자기 하다. 가던날은 충민사에서 취묵당으로 가는 길을 지자체에서 공사가 한참이였다. 취묵당을 지은 김득신은 본관은 안동이며 자는 자공 호는 백곡이다. 김치의 아들로서 음보로 참봉을 지내고 문과에 급제하고 가선대부에 올라 안풍군에 습봉되였고 시인으로 이름을 얻었다.묘소는 증평군 증평읍 율리에 있다. [증평읍 율리에 있는 김득신의 묘소] [억만재의 ..
취묵당은 1662년(현종3년)에 백곡 김득신(栢谷 金得臣)이 만년에 세운 독서재(讀書齋)이다. 팔작지붕에 목조 기와집으로 내면은 통간 마루를 깔고 난간을 둘렀다. 비교적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괴강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더불어 정자건축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김득신의 자는 자공(子..
이 건물은 임진왜란때 진주대첩의 주장(主將) 충무공(忠武公) 김시민(金時敏)과 문숙공(文肅公) 김제갑(金悌甲)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하는 사당이다. 김시민(1554-1592)의 자는 면오(勉吾), 본관은 안동으로 선조 11년(1578) 무과에 급제하고, 선조 24년(1591) 진주판관이 되었다. 이듬해 임진왜..
이 건물은 임진왜란때 진주대첩의 주장(主將) 충무공(忠武公) 김시민(金時敏)과 문숙공(文肅公) 김제갑(金悌甲)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하는 사당이다. 김시민(1554-1592)의 자는 면오(勉吾), 본관은 안동으로 선조 11년(1578) 무과에 급제하고, 선조 24년(1591) 진주판관이 되었다. 이듬해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났을 때 진주목사(晋州牧使)로 사천, 고성, 진해에서 적을 격파하고 영남우도병마절도사(嶺南右道兵馬節度使)에 올랐다. 그후 진주성 싸움에서 적을 격퇴하다가 전사하였다. 선조 37년(1604) 선무공신(宣武功臣) 2등에 추록되고 뒤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김제갑(1525-1592)의 자는 순초(順初), 호는 의재(毅齋), 본관은 안동으로 명종 8년(1553) 별시문과에 급제하고 선조 ..
이 건물은 임진왜란때 진주대첩의 주장(主將) 충무공(忠武公) 김시민(金時敏)과 문숙공(文肅公) 김제갑(金悌甲)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하는 사당이다. 김시민(1554-1592)의 자는 면오(勉吾), 본관은 안동으로 선조 11년(1578) 무과에 급제하고, 선조 24년(1591) 진주판관이 되었다. 이듬해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났을 때 진주목사(晋州牧使)로 사천, 고성, 진해에서 적을 격파하고 영남우도병마절도사(嶺南右道兵馬節度使)에 올랐다. 그후 진주성 싸움에서 적을 격퇴하다가 전사하였다. 선조 37년(1604) 선무공신(宣武功臣) 2등에 추록되고 뒤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김제갑(1525-1592)의 자는 순초(順初), 호는 의재(毅齋), 본관은 안동으로 명종 8년(1553) 별시문과에 급제하고 선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