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티스토리챌린지
- 공산성 선정비
- 각연사
- 국립청주박물관
- 부도
- 오블완
- 사인암
- 효자문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경주김씨
- 곡산연씨
- 효자각
- 충북의 문화재
- 공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법주사
- 문의문화재단지
- 청풍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보성오씨
- 밀양박씨
- 단지주혈
- 문경새재
- 부여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화양구곡
- 청주박물관
- 상당산성
- 충주박물관
- 선돌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석불 (8)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내수읍 저곡리가 고향인 석조보살입상입니다. 자연석의 한쪽면을 다듬어서 만들었으며 자연석의 일부를 광배로 표현하였습니다. 두부부분과 광배부분이 파손되었지만 손모양이나 옷주름과 허리띠등의 조각의 섬세함이 돋보이는 석불입니다. 현재는 충북대학교 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습니다. 내수읍의 저곡리楮谷里(탁골,楮谷)는 본래 청주군 산외일면의 지역으로서 닥이 많이 있으므로 닥골 또는 저곡(楮谷)이라 하였는데, 일제강점기인 1914年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매평리(梅坪里)와 비중리(飛中里) 일부를 병합(倂合)하여 저곡리라 해서 북일면(현 내수읍)에 편입(編入)되었습니다. 석보보살입상의 안태고향은 저곡리에서 절터가 있었던 찬샘골이 아닌가 추측을 해봅니다. 저곡리 불상이 취하고 있는 수인인 시무외여원인은 중생의 두려움을 없애..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에 위치한, 마을을 지키는 선돌 장승의 성격을 띤 불상이다. 문헌기록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불상의 복부 하단에 ‘순치구년십일월십육일입(順治九年十一月十六日立)’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1652년(효종 3)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당구 용정동 이정골마을 입구에 잘 정리되어 서 있다. 방형석주와 같은 화강암의 상단부에 두상을 조각하였는데 거의 선각에 가깝다. 머리는 소발(素髮)이며 앞부분에 선각으로 육계(肉髻) 형태를 나타내었다. 이마에는 커다란 백호(白毫)가 도드라지게 새겼고, 눈썹은 길고 큼직하게 표현하였으며, 눈은 내려 뜬 모양으로 눈두덩이 도드라져 마치 장승과 같은 모습이다. 코는 작고 짤막하며, 입은 반달모양으로 새겨 눈과 함께 전체적으로 해맑게 웃는 모습을 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