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상당산성
- 문경새재
- 화양구곡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청풍문화재단지
- 효자문
- 단지주혈
- 충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각연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밀양박씨
- 한독의약박물관
- 효자각
- 법주사
- 티스토리챌린지
- 국립청주박물관
- 사인암
- 부여박물관
- 공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부도
- 경주김씨
- 곡산연씨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공산성 선정비
- 선돌
- Today
- Total
목록한독의약박물관 (6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불돌이라 함은 화로의 불이 쉽게 사위지 않도록 눌러놓는 돌이나 기왓장 조각을 말합니다.한독의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백자청화수(수)자문 불돌입니다. 19세기 조선초 작품입니다.

고려시대(12세기)에 제작된 상약국尙藥局이라는 이름이 음각되어 있는 청자음각상약국명합 입니다.한독의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음성 한독약품박물관에 있는 적선고간판(조선1900년대)과 1930-40년도 사이에 쓰이던 건뇌환 간판입니다.

조선 후기 허준이 저술한 의학 서적.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는 고 김두종(金斗鐘) 박사가 한독 의약 박물관에 기증한 상권 1책이다. 2012년 10월 12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4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허준(許浚)[1539~1615]은 1537년(중종 32) 평안도 양천에서 태어나 1569년 유희춘이 내의원 의원으로 천거하였고, 1573년 정삼품 내의원 정이 되었다. 1590년 광해군의 두창(痘瘡)을 치료하여 정삼품 당상관 통정대부의 작위를 받았다.1597년 선조로부터 『동의보감(東醫寶鑑)』을 편찬하라는 명을 받아 1610년 『동의보감』 집필을 완성하였다. 1601년(선조 34) 『언해 구급방(諺..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는 조선 1608(선조 41)년에 허준(許浚)이 왕명으로 내의원(內醫院)에서 편찬한 의서(醫書)입니다. 아이를 배고 낳기까지의 모든 증세와 약방문(藥方文)을 적고 한글로 해석하였습니다. 1책이다.한독의약박물관에 전시중입니다.

세종의 명으로 1437~39년에 북경에 사신과 역관(譯官)이 파견되어 〈내경 內徑〉에서부터 당·송·원과 명초까지의 의서들을 폭넓게 수집(蒐集)하여 1442~45년에 집현전의 김예몽(金禮蒙)·유성원(柳誠源)·민보화(閔普和)·김문(金汶)·신석조(辛碩祖)·이예(李芮)·김수온(金守溫) 등과 의사인 전순의(全循義)·김유지(金有知) 등에 의해 365권으로 편찬·완성되었다. 그후 세조의 명으로 성종대에 이르기까지(1465~77) 양성지(梁誠之)의 주관 아래 유신(儒臣)과 의관(醫官)이 함께 교정해 도합 266권으로 간행되었다.그러나 현존하는 〈의방유취〉는 국내본이 아닌 일본판인데, 이는 임진왜란 당시 왜장 가토[加藤]가 다른 문화재와 함께 약탈하여 일본으로 가져갔으며, 다른 보관본은 불에 타 없어졌기 때문이다.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