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문경새재
- 공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사인암
- 법주사
- 화양구곡
- 선돌
- 밀양박씨
- 효자각
- 사과과수원
- 청주박물관
- 효자문
- 곡산연씨
- 보성오씨
- 공산성 선정비
- 충주박물관
- 각연사
- 부도
- 화양동 암각자
- 경주김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티스토리챌린지
- 문의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상당산성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황간면 우매리 반야사(黃澗面 友梅里 般若寺) 본문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우매리 지장산(地藏山)에 있는 절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의 말사이다
신라 문무왕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는 설도 있으나, 720년(성덕왕 19) 의상(義湘)의 십대제자 중 한 사람인 상원(相源)이 창건하였다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다. 그 뒤 수차례의 중수를 거쳐서 1464년(세조 10) 세조의 허락을 얻어 크게 중창하였다.
세조는 속리산 복천사(福泉寺)에 들러 9일 동안의 법회를 끝낸 뒤, 신미(信眉) 등의 청으로 이 절의 중창된 모습을 살피고 대웅전에 참배하였다. 이때 문수동자(文殊童子)가 세조에게 따라오라 하면서 절 뒤쪽 계곡인 망경대(望景臺) 영천(靈泉)으로 인도하여 목욕할 것을 권하였다. 동자는 “왕의 불심(佛心)이 갸륵하여 부처님의 자비가 따른다.”는 말을 남기고 사자를 타고 사라졌다 한다. 세조는 황홀한 기분으로 절에 돌아와서 어필(御筆)을 하사하였는데 지금까지도 보관되어 있다. 이 절의 이름을 반야사라고 한 것도 이 절 주위에 문수보살이 상주한다는 신앙 때문이며, 문수의 반야를 상징하여 절 이름을 붙인 것이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3칸의 대웅전과 요사채 2동이 있다. 대웅전 안에는 높이 1m의 석가여래좌상과 좌우에 각 72㎝의 문수보살상과 보현보살상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두 경주 옥석으로 제작하여 개금(改金)한 것이다. 또, 대웅전 안에는 탱화 6폭이 봉안되어 있는데, 1890년청주 보국사(輔國寺)에서 제작한 후불탱화(後佛幀畫)와 신중탱화(神衆幀畫), 1753년(영조 29)지례(知禮) 봉곡사(鳳谷寺)에서 조성한 지장탱화(地藏幀畫)가 매우 양호한 상태로 보존되고 있다.
이 밖의 유물로는 높이 315㎝의 삼층석탑과 석조 부도(浮屠) 2기, 영위판(靈位板), 목사자, 청기와, 법고(法鼓), 범종 등이 있다. 삼층석탑은 원래 절 동쪽 500m 지점의 탑벌에 있던 것을 1950년경에 주지 성학(性學)이 대웅전 앞으로 이건하였는데,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창건 당시에 상원이 세웠다는 칠층석탑은 어느 때 없어졌는지 흔적이 없다.
영위판은 왕이 죽었을 때 영위를 봉안하는 판구(板具)로서 높이 105.5㎝, 너비 15㎝이다. 문수동자가 탄 목사자는 세조를 영천으로 인도하여 병을 낫게 했다는 전설을 상징하는데, 높이 45㎝, 길이 45㎝, 너비 15㎝의 작품이다. 청기와는 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전해오는 용마루기와이다.
'충북의 바람소리 > 영동군(永同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곡면 3.1운동 기념비(梅谷面 3.1運動 記念碑) (0) | 2013.07.22 |
---|---|
신라시대 창건 영동 중화사 화재..대웅전 무너져 (0) | 2013.07.10 |
황간면 우매리 반야사불상(黃澗面 友梅里 般若寺佛像) (0) | 2013.06.22 |
황간면 우매리 반야사 배롱나무(黃澗面 友梅里 般若寺 배롱나무) (0) | 2013.06.20 |
황간면 우매리 반야사삼층석탑(黃澗面 友梅里 般若寺三層石塔) (0) | 2013.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