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효자문
- 문의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법주사
- 티스토리챌린지
- 곡산연씨
- 밀양박씨
- 사인암
- 보성오씨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화양구곡
- 청주박물관
- 효자각
- 경주김씨
- 사과과수원
- 공산성 선정비
- 오블완
- 화양동 암각자
- 상당산성
- 부도
- 선돌
- 국립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각연사
- 공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용산면 부상리 서낭당(龍山面 扶桑里 서낭당) 본문
용산면 부상골은 마을이 동쪽을 향해 있어 해 뜨는 것이 제일 먼저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마을의 쉼터가 자리하고 있는 곳에는 여흥인인 민대혁의 효자문이 자리하고 있다
또한 민대혁의 효자문 옆으로는 서낭당으로 쓰였을 커다란 나무와 돌무더기가 세월을 깁고있다.
선돌과 돌탑은 아마 많은 민초들의 바램을 안고 이 자리를 지키고 있지 않았을 까 생각이 든다
그 후 민대혁 효자문에게 자리를 내주고 한켠으로 물러나 효자문에 가려 그 옛날의 민초들의 바램도 바람에 쓸려 갔는지 모른다.
자칫 효자문에 가려 사람들의 시선도 머무르지 않는것은 아닐까?
많은 사람들의 바램도 소원도 선돌과 돌탑을 향한 많은 기원도 그렇게 허공으로 흩어져 많은 사람들의 기억속에서 스러지는 것 같아
참 안타까운 생각이 든다.
부상리는 대평(大平) 부상(扶桑) 도천(道川) 삼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면적 3.9㎦이다. 매봉(鷹峰)산 자락에 터를 잡아 1759년에는 충청도 영동현 북이면 와촌(瓦村)리로 이름하였다가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부상리(해돋이마을)로 개칭되었다. 우리 마을은 약 350년전 청주한씨(淸州韓氏)가 자리를 잡은 것으로 추정되며 그 뒤 여흥민(驪興閔)씨 경주김(慶州金)氏 선산곽(善山郭)씨 개성김(開成金)씨 경주최(慶州崔)씨 밀양박(密陽朴)씨 양주조(陽州趙)씨 동래정(東萊鄭)씨 나주오(羅州吳)씨 제주고(濟州高)씨 전주이(全州李)씨 감해김(金海金)씨 영일정(迎日鄭)씨 합천이(陜川李)씨 등이 살고 있다. 역사와 문화를 살펴보면 고종4(1867)년 명성황후의 당질(5寸)인 민영주(閔泳柱)가 부상리 448-2번지 일대에다 99간의 기와집을 세우고 거처하다 상경하였다.
1940년경에 마지막으로 헐려졌다한다. 고종29(1892)년에는 민대혁(閔大赫)에게 나라에서 동몽교관(童蒙敎官) 조봉대부(朝奉大夫) 직함을 추서하여 정려(孝子)문을 건립케 명하시어 현재 준문화재로서 후손들에 의해 잘 보존되고 있다
'충북의 바람소리 > 영동군(永同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산면 봉곡리 이의정정문(陽山面 鳳谷里 李義精旌門) (0) | 2014.03.19 |
---|---|
양산면 봉곡리 금호루(陽山面 鳳谷里 錦湖樓) (0) | 2014.03.19 |
심천면 고당리 세덕사(深川面 高塘里 世德祠) (0) | 2014.03.17 |
양산면 죽산리 박응남효행비(陽山面 竹山里 朴應男孝行碑) (0) | 2014.03.17 |
양강면 구강리 명양정(陽江面 九江里 鳴陽亭) (0) | 2014.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