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효자각
- 청풍문화재단지
- 사인암
- 보성오씨
- 부도
- 사과과수원
- 오블완
- 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상당산성
- 문의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밀양박씨
- 충주박물관
- 화양구곡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법주사
- 한독의약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곡산연씨
- 각연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효자문
- 공주박물관
- 선돌
- 경주김씨
- 문경새재
Archives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경주시 배동 포석정(慶州市 拜洞 鮑石亭) 본문
사적 제1호. 〈삼국유사〉 권2 처용랑망해사조(處容郞望海寺條)에 헌강왕(875~885)이 포석정에 행차했을 때 남산신(南山神)이 나타났다고 기록되어 있으므로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곳은 927년 경애왕이 왕비·궁녀·신하들과 놀다가 견훤의 습격을 받아 죽은 곳이기도 하다.
포석정은 경주 서쪽 이궁원(離宮苑)에서 열리는 연회를 위해 만든 것으로 시냇물을 끌어들여 포어(鮑魚) 모양을 따라 만든 수구(水溝)에 흐르게 하고 물 위에 술잔을 띄워 시를 읊고 노래를 부르며 술을 마시며 즐겼다고 한다. 이러한 것은 유상곡수(流觴曲水)라는 시회(詩會)로 중국 동진(東晉)시대부터 유행했으며, 통일신라시대에 화려했던 궁정생활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현재 남아 있는 것은 포어 모양의 수구뿐인데 일제시대에 임의로 보수되어 수로곡석(水路曲石)의 원형이 많이 변형되었다.[다음백과사전]
'전국방방곡곡 > 여기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불국사 당간지주(慶州 佛國寺 幢竿支柱) (0) | 2014.09.04 |
---|---|
포항시 남구 장기면 장인풍정효각(浦項市 南區 長鬐面 張仁豊旌孝閣) (0) | 2014.09.03 |
안동 하회마을 삼층석탑(安東 河回마을 三層石塔) (0) | 2014.08.30 |
고도리 석불입상 (0) | 2014.08.03 |
울산광역시 동축사 삼층석탑(蔚山廣域市 東竺寺 三層石塔) (0) | 2014.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