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청풍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화양구곡
- 사과과수원
- 곡산연씨
- 효자문
- 화양동 암각자
- 공주박물관
- 효자각
- 문의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국립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부도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경새재
- 충주박물관
- 법주사
- 상당산성
- 보성오씨
- 단지주혈
- 각연사
- 밀양박씨
- 선돌
- 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사인암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포항시 남구 장기면 장인풍정효각(浦項市 南區 長鬐面 張仁豊旌孝閣) 본문
효자문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장인풍 정효각은 정려각앞에 홍살문이 있으며 정효각이라는 현판을 달았다
정효각 안에는 정려비가 세워져 있다.
정려비를 보며 문득 노계박인로의 시조가 생각이 난다.
왕상의 잉어 잡고 맹종의 죽순 꺾어
검던머리 희도록 노래자의 옷을 입고
일생에 양지성효를 증자같이 하리라.
철이른 과일이나 또는 한겨울에 잉어등을 하늘에서 내려주는 등의 내용은 전국에 흩어져 있는 많은 효자각의 일관성이 있는 내용이다.
중국의 맹종설순등의 고사와 왕상의 효에서 유래된것으로 전한다.
맹종은 원나라 때 선정한 24효의 인물 중 하나로 맹종읍죽(孟宗泣竹), 맹종설순 고사의 주인공으로 손호가 즉위하자 손호의 자 원종을 피해 맹인(孟仁)으로 개명한다.
장인풍의 효행내역은 중국의 왕상의 효를 본딴것 같은 느낌이다
진서 왕상열전에 의하면 왕상(王祥)은 성품이 효성스러웠다. 일찍 어머니를 여의고, 계모 주씨(朱氏)의 성품이 자애롭지 못하여 자주 왕상을 헐뜯었다. 이로 말미암아 아버지에게도 사랑을 잃어 매번 쇠똥을 치우도록 시켰는데, 그때마다 왕상은 더욱 공손하고 조심스런 태도를 가졌다. 부모가 병이 들면 옷의 띠를 풀지 않았고 약을 달이면 반드시 직접 맛을 보았다.
한번은 어머니가 살아있는 물고기를 먹고 싶어 했는데, 그때는 날이 추워서 얼음이 얼어 있었다. 왕상이 얼음을 깨고서 옷을 벗고 물고기를 잡으려고 하였다. 그런데 갑자기 얼음이 저절로 깨지면서 잉어 두 마리가 튀어나와 가지고 돌아왔다.
어머니가 또 참새구이를 먹고 싶어 하자, 다시 참새 수십 마리가 그의 방 안으로 날아들어 왔다. 왕상은 이것을 잡아서 어머니께 드렸다. 마을 사람들이 이 말을 듣고 놀라고 감탄하여, 효성이 하늘을 감동시켜서 그렇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붉은 사과가 열매를 맺자, 어머니는 그것을 지키도록 했다. 바람 불고 비올 때마다 왕상은 과일이 떨어질까 나무를 안고 울곤 했다. 그는 이처럼 효성이 독실하고 마음이 순수하고 지극했다.
'전국방방곡곡 > 여기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시 불국사 석등 (慶州市 佛國寺 石燈) (0) | 2014.09.11 |
---|---|
경주 불국사 당간지주(慶州 佛國寺 幢竿支柱) (0) | 2014.09.04 |
경주시 배동 포석정(慶州市 拜洞 鮑石亭) (0) | 2014.09.02 |
안동 하회마을 삼층석탑(安東 河回마을 三層石塔) (0) | 2014.08.30 |
고도리 석불입상 (0) | 2014.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