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미륵리 사지 사각석등(彌勒里 寺址 四角石燈) 본문

중원의 향기/충주시(忠州市)

미륵리 사지 사각석등(彌勒里 寺址 四角石燈)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5. 11. 8. 20:48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에 있는 고려 전기 사각석등이다.

몇번이고 다녀온 미륵리사지이다.갈때마다 느끼는 감정의 변화가 있으니 또 앞으로 얼만큼의 발걸음이 필요할끼?

바라보고만 있어도 좋은 미륵리사지의 사각석등이다.


 

 

충주 미륵대원지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어 고려시대에 사세(寺勢)가 크게 확장된 사찰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의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하여 고려시대 번성한 사찰이었음이 확인되었다. 사지에서는 대원사(大院寺)라는 명문 기와가 출토되기도 하여 절 이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현재는 석불입상을 비롯하여 석탑, 당간지주, 귀부 등 여러 기의 석조물이 남아 있으며, 석불입상이 봉안된 인공 석굴은 중요한 학술적 자료로 다루어지고 있다. 현재 사각 석등은 오층석탑 옆에 세워져 있는데 원래 위치는 아니다. 미륵리 사각석등은 화사석이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석등은 사찰 가람에서 중요 전각이나 석탑 앞에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래서 석등은 가람의 중요 석조 건축물로도 다루어지고 있다. 불가에서 석등은 빛을 통하여 부처님의 자비와 설법을 널리 전하여 중생을 교화하고 구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이 석등도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가람의 중요 석조물로, 고려시대에 건립되었을 것이다. 현재 충주 미륵대원지에는 건립 시기가 다소 앞서는 것으로 보이는 다른 양식의 석등 1기가 또 있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석등 1기는 석불입상이 봉안된 석굴 앞에 세워졌을 것으로 보이며, 다른 1기는 석탑 앞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에 위치한충주 미륵대원지 한가운데 세워져 있는 오층석탑 옆에 옮겨져 있다. 사찰 가람상에서 석등의 배치법으로 보아 원래는 석굴이나 석탑 앞쪽에 세워졌던 것으로 보인다.

 

미륵리 사각석등은 크게 기단부·화사석·옥개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의 지대석은 일부 파손되기는 했지만 원래는 평면 사각형의 판석형 석재가 마련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대석은 투박한 복판 연화문이 장식되어 있다. 연화문은 대형으로 새겨져 있지만 치석 수법이 정연하지 못하고 다소 불균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대석 상면에는 사각형의 홈을 마련하여 간주석을 끼워 고정하도록 했다.

간주석은 평면 사각의 석주형으로 마련되었다. 표면에 보주형 안상이 새겨지고, 그 안에 좌우대칭을 이루는 화형 문양이 새겨져 장식성을 보이고 있다. 상대석은 하부에 앙련문을 표현했는데, 하대석에 비하여 정교하게 조각하였다. 연화문은 복판으로 각 면이 가운데 배치된 연화문을 중심으로 좌우로 펼쳐나가는 형상으로 표현되어 하대석과 대조를 이룬다.

화사석은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모서리마다 원주형 기둥을 세워 옥개석을 받치도록 했다. 옥개석은 하부를 수평으로 치석하고 관통된 원공을 시공하였다. 낙수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내려오고 있으며, 합각부는 약간 돌출시켜 치석함으로써 마루부처럼 보이도록 했다. 상륜부는 현재 사각형 받침대가 올려져 있고 나머지 부재들은 결실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간주석과 화사석은 독특한 치석 수법을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미륵리 사각석등은 전형적인 석등 양식에서 다소 벗어난 이채로운 결구 수법을 보이고 있다. 특히 화사석은 고려시대 건립된 일부 석등에서만 채용된 기법이었다. 이러한 화사석은 고려시대 개경 일대에 건립된 사찰에서 확인되고 있다. 고려시대 수도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있는 충주 미륵대원지에 이런 양식의 석등이 세워졌다는 것은 석등 양식이 지방으로 전파되는 측면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해준다. 현재 이와 같은 화사석 결구 수법의 석등으로는 관촉사·현화사·개국사 석등이 있다. 대부분 고려 초기와 중기에 걸쳐 건립된 석등으로 특정 사찰에서만 적용된 석등 양식이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