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이원면 이원리 창주서원묘정비(伊院面 伊院里 滄州書院廟庭碑) 본문

충북의 바람소리/옥천군(沃川郡)

이원면 이원리 창주서원묘정비(伊院面 伊院里 滄州書院廟庭碑)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6. 12. 5. 08:09


창주서원 묘정비는 충북기념물 제105호로 지정되여 있으면 지정시기는 1996년 01월 05일 입니다.

마을 한복판에 자리하고 있으며 적은대수이지만 주차장 시설도 갖추고 있습니다.주변관리도 양호합니다.



창주서원이 있는 이원리는 원래 옥천군 이내면(利內面) 현리(縣里)와 역리(驛里)가 합하여 이루어진 마을이다. 1739년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이내면 현리라 하여 106호, 역리에 41호가 살았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1891년 신묘장적(辛卯帳籍)에는 현리 64호, 역리 61호가 살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후 1914년 행정구역을 전면적으로 조정하면서 면의 이름을 이내면(伊內面)으로 고치고 현리와 역리가 합하여 이원리가 되었다. 2007년말 현재 현남에 29호 52명, 현리에 78호 202명, 두암에 29호 71명이 살고 있다. 1929년 이남면과 이내면이 합하여 이원면이 되면서 이 마을이 면소재지가 되었다.


이원리가 된 것은 현리는 이내면의 소재지였기에 이내면(伊內面)의 이(伊)자와 역말에 토파역(土坡驛)과 우현원(牛峴院)이 있었는데 우현원의 원(院)자를 따서 이원리가 되었다. 현리(縣里)라 함은 신라초에는 소리산현(所利山縣) 이었고 경덕왕 이후부터 고려 때 까지는 이산현(利山縣) 이었으며 바로 이 마을이 현의 소재지였기 때문에 현리라 불러왔다.


현리는 대밭말, 선말, 장터로 구분 되는데 옛장이 있던 곳이므로 구장터라고 부른다. 대밭말 뒤쪽 성재산 남쪽기슭에 월사 이정구(月沙 李廷龜) 선생의 문집 판목을 보관하는 장판각(藏板閣)이 있는데 1986년에 자손들이 그 판각을 모두 경기도로 옮겨서 빈 집만 남아있다.


대밭말과 장터 사이에 창주서원지가 있는데 서원은 훼철되고 묘정비만 남아 있다. 묘정비의 비문이 마모되어 판독이 어렵다. 1998년 안남면 도농리에 조헌선생의 표충사를 다시 짓고 신도비에 비각을 세울 때 이 묘정비에도 비각을 세우고 주변에 잔디밭을 조성하였다.


선말은 선바위가 있는 마을이다. 다리골 입구 냇가에 서 있는 이 바위는 온 주민이 신성시하는 바위이다. 주변에 콘크리트로 치장을 한 것이 눈에 거슬린다. 역말은 역리라고도 불렀는데 이곳에 토파역이 있었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현의 남쪽에 있는 마을이라 현남(縣南)이라 불리기도 한다.


두암은 말바우란 옛말을 한자화 할 때 말두(斗)자와 바위 암(岩)자를 써서 두암이라 하였는데 사실은 이곳에 백촌 김문기(白村 金文起) 선생의 별장인 마암계당(馬巖溪堂)이 있어 마암을 ‘말바우’라 부르게 되었는데 한자화 할 때 말 마(馬)가 아닌 말두(斗)자로 쓰게 되어 두암리가 되었다. 두암리에는 충청북도유형문화재 120호로 지정 받은 삼층석탑이 있다. 영동군과 경계지점인 월이산에 봉수지가 있어 옛날 영동군 용산면에 위치한 박달라산에서 받아 군북면 환산의 봉수대로의 통신을 담당하였다. 현리소류지가 있다.





이원면 이원리 216-7 옛 창주서원 자리에 있는 이 묘정비는1697년(숙종 23) 건립. 충청북도 기념물 제105호. 비신의 높이 169㎝, 너비 89㎝, 두께 44.5㎝.

비문의 글씨체는 예서()인데, 아래쪽이 마멸되어 지은이와 쓴 이를 확인할 수는 없으나 각각의 첫 글자인 “”과 “”은 은진()송시열()과 안동()김수증()이다. 원래 비문은 1689년(숙종 15)에 짓고 쓰여졌으나 비를 세우지 못하다가 1697년에 가서 추기()를 더해 세웠다. 추기도 예서로 비문 서풍과는 좀 다른데, 짓고 쓴 사람은 미상이다.

창주서원은 이곳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금산 전투에서 순절한 중봉()조헌(, 1544∼92)과 유학자 신독재()김집(, 1574∼1656)의 덕을 기리기 위해 창건되었다. 몇 차례 서원 건물을 옮겨 다니다가 1689년 이산() 서쪽 기슭의 경승지에 건립하였다. 그 뒤 청나라 황제의 사액()을 받게 되자 그간의 내력을 적어 이 비를 세우게 되었다.

원래 이곳에서는 창주서원이 있어 중봉 조헌선생을 배향하다가 그 후 신독재 김집과 우암 송시열, 동춘당 송준길 용춘 곽은을 추가 배향하였다가 1864년 고종 원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 때 훼철되고 현재 이 묘정비만 남아 있다. [滄州書院廟庭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