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공산성 선정비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효자문
- 곡산연씨
- 상당산성
- 한독의약박물관
- 오블완
- 밀양박씨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법주사
- 각연사
- 화양동 암각자
- 사인암
- 선돌
- 티스토리챌린지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효자각
- 경주김씨
- 충북의 문화재
- 문경새재
- 화양구곡
- 청풍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부도
- 문의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보은읍 어암리 보은사 석불입상(報恩邑 漁岩里 報恩寺 石佛立像) 본문
보은사는 삼년산성안에 있는 절입니다.
삼년산성은 보은읍의 동쪽인 어암리 오정산(烏頂山)에 있는 신라 시대의 석축 산성으로 오정산의 능선 안부마다에 문터가 있어 문지(門址) 4개소, 곡성(曲城) 7개소, 우물터 5개소와 교란된 수구지(水口址) 등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이성은 470년(신라(新羅) 자비왕(慈悲王)13)에 축조되었으며, 486년(소지왕(昭知王)8)에 개축되었다. 그리고 삼국 시대에는 삼년군(三年郡)․삼년산군(三年山郡)으로 불렸기 때문에 삼년산성으로 불린 듯하나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성을 쌓는 데 3년이 걸렸기 때문에 삼년산성이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편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誌)에는 오항산성(烏項山城)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에는 오정산성(烏頂山城)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산성은 전형적인 고로봉형(고로峰形) 산성(山城)으로 판상(板狀)의 납작한 할석을 이용하여 정자(井字)모양으로 , 한 켜는 가로 쌓기를 하고, 한 켜는 세로 쌓기로 축조하여 성벽이 견고하다. 석재는 대개 직육면체이다. 성벽의 높이는 지형에 따라 축조하였기 때문에 일정하지 않아 현존한 것만도 최고 13m에 달하며, 거의 수직으로 쌓여 있다. 이처럼 성벽이 높고 크기 때문에 그 하중(荷重)도 막대하여 성벽을 쌓은 석재와 사이를 메운 쐐기 돌들이 으깨어진 것도 있다. 남쪽과 북쪽은 안팎을 모두 석재를 이용하여 축조한 내외겹축(內外夾築)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문지는 동서남북의 네 곳에 있으나 각기 형식을 달리 하고 있다. 남문은 훗날에 메워서 사용치 않았다. 수구는 지형상 가장 낮은 서쪽 방향으로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동쪽에는 지상에서 약 1m 되는 성벽 부분에 65×45cm의 5각형 수문이 남아 있다. 한편 7개소의 곡성은 대개 둘레가 25m, 높이 8.3m로서 지형상 적의 접근이 쉬운 능선과 연결되는 부분에 축조하였다. 또한 우물터로는 아미지(蛾眉池)라는 연못을 비롯하여 5개소의 우물터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 주위의 암벽에는 옥필(玉筆)․유사암(有似巖)․아미지 등의 글씨가 음각 되어 있는데 김생(金生)의 필체로 전해 오지만 조선 초기의 작품으로 인정되고 있다. 1980년 7월 22일 호우로 인하여 서문지에서 발견된 성문에 사용했던 신방석(信枋石)은 우리 나라 고대 축성술의 한 면모를 보여주었다.
성문은 이 성이 축조된 당시와 이후 개축된 시기 및 후대의 것 등 3가지의 초석이 있으며, 문터의 문지방석(門地枋石)에 수레바퀴 자국이 남아 있는 첫째 시기의 것은 중심간 거리가 1.65m에 달하는 큰 수레가 다녔던 것으로 보인다. 1983년의 발굴결과 삼국 시대에서 고려 ․조선시대까지의 토기편과 각종 유물이 출토되어 이 성의 이용 편년을 입증해 주고 있다. 5세기 후반 신라(新羅)의 축성 기술을 대표하는 산성(山城)으로 주변에는 수천기의 고분군(古墳群)이 있다. 산성의 기초, 벽쌓기, 수문, 정문, 연못 등에서 독특한 방법을 상용한 현존하는 산성중에서 가장 오래된 산성이다. 당시 신라는 당나라와 가까운 서해로 진출하는 길을 모색하던중 백제와 접경지대이며 전략 교통의 요충지 보은에 난공불락의 전초기지(前哨基地)가 필요했다. 이곳의 지명 또한 당시에는 삼년산군이다. 산성을 쌓은후 불려진 이름이다. (보은의 지명이 처음은 삼년산군-보령-보은-태종 이방원) 벽쌓기는 수직에 가까운 벽면을 구축하고 있으며 토사를 전혀 섞지않고 작은돌을 사이사이에 끼어 넣어서 내부까지 완전한 석축으로 견고하게 구축하는 협축공법(夾築工法)이다.
충북유형문화재 제312호 ‘보은 보은사 석조여래입상(報恩報恩寺石造如來立像)’은 삼년산성 내의 보은사에 봉안돼 있는 석불입상이다.
얼굴은 양 눈 사이가 가깝고 눈매는 약간 처져 있으며, 삼각형의 코, 입술선의 흐릿한 윤곽 등 소탈한 조각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불신은 옷주름이 유려하며, 조형성이 뛰어나는 등 얼굴에 비해 조형성이 탁월하다.
이 불상은 보은읍 대야리 미륵당이산에서 50~60년 전 현 위치로 옮겨졌다.
3부분으로 나뉘어진 것을 접합해 놓은 이 불상의 제작연대는 고려시대로 추정된다.
'충북의 바람소리 > 보은군(報恩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인면 죽암리 홍인표공적비(懷仁面 竹岩里 洪寅杓功績碑) (0) | 2018.10.13 |
---|---|
속리산면 법주사 석주(俗離山面 法住寺 石柱) (0) | 2018.08.30 |
보은읍 신함리 산신동제단(報恩邑 新含里 山神洞祭壇) (0) | 2017.09.30 |
보은읍 어암리 삼년산성 아미지(報恩邑 漁岩里 三年山城 蛾眉池) (0) | 2017.09.23 |
보은읍 어암리 삼년산성(報恩邑 漁岩里 三年山城) (0) | 2017.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