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칠성면 태성리 각연사 승탑(七星面 台城里 覺淵寺 僧塔) 본문

충북의 바람소리/괴산군(槐山郡)

칠성면 태성리 각연사 승탑(七星面 台城里 覺淵寺 僧塔)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8. 1. 28. 19:09



각연사를 지나 석조귀부를 보고 통일대사 탑비를 보러가는 중간에 있는 조선시대에 대표적인 석종형 승탑입니다

울창한 나무옆으로 작은공터에 삭종형승탑 2기가 서로 마주보며 자리하고 있다.




1기는 승탑의 주인공을 알수없는 무명승탑이고 힌기에는 선적당탑(善跡堂塔)이라는 명문이 적혀있다.



승탑은 '부도(, )'라고도 한다. 이는 부두() 또는 포도() ·불도() 등 여러 가지로 표기되는 불타(, Buddha) 또는 솔도파(), 즉 탑파()의 전음()이다. 어원으로 본다면 불타가 곧 부도이므로 외형적으로 나타낸 불상이나 불탑이 즉 부도인데, 더 나아가 승려의 것들까지도 부도()라 일컬은 예가 있으니 부도란 실로 넓은 뜻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승탑이라 하면 일련의 묘탑()을 지적하므로 실제는 매우 국한된 용어로 사용된다. 그러나 묘탑이라는 것도 따지고 보면 사리를 봉안한 탑이므로 종래에는 모든 묘탑을 탑으로만 통칭하여 왔을 뿐 내용이나 외양을 엄밀히 구별하여 지칭한 용어는 없었다.



한국에서는 묘탑, 즉 승탑이라는 용어로 승려의 사리묘탑을 가리키는 실례가 신라 하대부터 나타난다. 즉 대안사() 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 비문 중에 “기석부도지지()”라 하였으므로 이 묘탑이 곧 ‘석부도()’임을 알 수 있다. 이 ‘석부도’는 그 형태가 불탑으로 통칭되는 방형중층()의 일반형 석탑과는 달리, 기단부 위에 단층의 탑신을 놓고 옥개()와 상륜부()를 차례로 쌓았으며 평면도 8각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불탑 개념으로서의 승탑과 승려의 묘탑으로서의 승탑은 우선 외양이 다르다. 따라서 승탑이라 함은 이와 같이 외양적인 면에서 구별되는 승려들의 묘탑만을 일컫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즉, 불탑이라는 일반 석탑은 대개 사찰을 이룩하는 데 중심이 되어 후세에 이르는 양식의 발전과 계통이 있으며, 혹시 특수탑파라 하여도 일반형에서 변형되어 그 원류는 불탑의 형식이므로 역시 계보가 뚜렷하다. 아울러 승탑에서도 전형의 정립과 발달을 볼 수 있고 그 계보를 살필 수 있다. 그러므로 승탑을 묘탑이라는 개념에서 불탑과 함께 다루어 고찰하기에는 여러 점에서 어려운 일이며, 특히 각 승탑에는 대개 탑비가 세워져 있는데, 이것은 곧 개개인 승려들의 행적은 물론이고 다른 승려와의 관계와 사적(), 나아가 당시의 사회 및 문화의 일단까지도 알리는 귀중한 사료()가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