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부도
- 문경새재
- 보성오씨
- 상당산성
- 화양동 암각자
- 화양구곡
- 곡산연씨
- 경주김씨
- 사과과수원
- 공산성 선정비
- 사인암
- 충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효자각
- 공주박물관
- 선돌
- 충북의 문화재
- 법주사
- 오블완
- 부여박물관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효자문
- 각연사
- 밀양박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낭성면 이목리 이정사비석(琅城面 梨木里 梨亭祠碑石) 본문
낭성면 이목리 이정사 밑에 마을 정자옆에 자리하고 있는 일제강점기 시절 애국자인 소당(素堂) 김제환(金濟煥, 1876∼1916) 그의 동생 김성환(金成煥, 1875∼1958)의 유허비 입니다. 이목리 마을 쉼터 옆에 자리하고 있다.
김제환(金濟煥, 1867. 10. 20.∼1916. 10. 5.)은 충청북도 청주군 산내이상면(山內二上面) 이목정리(梨木亭里) 출신으로 일제 침략에 항거하고 단식 순절한 인물이다.자는 문도(文道), 호는 소당(素堂)이며, 본관은 김해(金海)로 일제강점기 청주의 ‘백이숙제(伯夷叔齊)’로 칭송받았다.
1910년 일본에 의해 국권(國權)이 상실되자 고향에서 호적 등록을 거부하고 이른바 ‘경절(慶節)’에 일장기를 달지 않으며 납세 및 부역 등을 거절하는 등 항일투쟁을 하였다.1913년 2월 배일항거운동(排日抗拒運動)으로 일본헌병에 체포되었으나 단식투쟁으로 동년 3월에 풀려났다. 5월 청원군(淸原郡) 오창면(梧倉面) 이산리(里山里)에서 함께 공부했던 변영인(卞榮仁), 신영태(申榮泰), 신학석(申學錫), 이종만(李鍾萬) 등과 ‘성산대강회(星山大講會)’를 개최하여 일제에 항거할 것을 주장하다가 일본 경찰에 다시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조선총독 장곡천호도(長谷川好道)에게 ‘내가 죽으면 큰 벼락불이 되어 너희 종류를 씨도 남기지 않겠다.’는 항일 유서를 송부한 후 인근 산속에서 단식·순절하였다.남긴 유고로는 선생의 문하생인 변영인, 신태구, 신천석, 이종만 등이 편집해 1950년 대전에서 목활자로 간행한 시문집인 ‘소당선생문집’이 있다.
문집의 부록에는 선생을 청주의 ‘백이숙제(伯夷叔齊)’로 소개한 일제 강점기 신문기사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현재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77년 건국포장,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묘소는 충청북도 청원군 낭성면 인경리 산 50-2번지에 있다.
김제환과 동생 정당 성환(成煥)은 청주 지역의 유생으로써 당시 청주군 산외일면 비상리와 산내이상면 문박리에서 각각 서당을 설치하고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한일합방의 부당성 등 교육운동과 배일사상(排日思想)을 펼쳤다.
'통합청주시 > 상당구(上黨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낭성면 갈산리 오정근효자문(琅城面 葛山里 吳正根孝子門) (0) | 2022.04.27 |
---|---|
낭성면 이목리 이정사(琅城面 梨木里 梨亭祠) (0) | 2022.04.27 |
낭성면 삼산리 삼산저수지(琅城面 三山里 三山貯水池) (0) | 2022.04.25 |
낭성면 현암리 신득치묘지(琅城面 玄岩里 申得治墓地) (0) | 2022.04.25 |
낭성면 현암리 신득치묘비(琅城面 玄岩里 申得治墓碑) (0) | 2022.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