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천면 화양동 비례부동각자(靑川面 華陽洞 非禮不動刻字) 본문

충북의 바람소리/괴산군(槐山郡)

청천면 화양동 비례부동각자(靑川面 華陽洞 非禮不動刻字)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23. 9. 3. 13:56

괴산군 청천면 화양계곡 첨성대 아래의 냇가의 암벽에 새겨진 명나라의종의 어필로 송시열에 의하여 각자되었습니다.비례부동 (非禮不動) 명나라 마지막 황제, 의종의 어필로, '예가 아니면 행동하지 않는다' 라는 의미 이다.비례부동의 오른쪽에 숭정황제어필崇禎皇帝御筆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화양동은 송시열의 모든것을 압축해 놓은 곳입니다.

 

 

우암이 괴산 화양동에 '비례부동'을 새긴 까닭은 - 충북과 나의 연결고리 충북일보 (inews365.com)

 

우암이 괴산 화양동에 '비례부동'을 새긴 까닭은

우암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은 전라도 정읍에서 숙종의 사약을 받기 직전 수제자 권상하(權尙夏, 1641∼1721)에게 서면으로 유지를 내려 명나라 신종(神宗)과 의종(毅宗, 崇禎帝)의 사당을 짓고 제

www.inews365.com

 

 

명 의종어필 비례부동탁본(明 毅宗御筆 非禮不動拓本) (tistory.com)

 

명 의종어필 비례부동탁본(明 毅宗御筆 非禮不動拓本)

우암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은 전라도 정읍에서 숙종의 사약을 받기 직전 수제자 권상하(權尙夏, 1641∼1721)에게 서면으로 유지를 내려 명나라 신종(神宗)과 의종(毅宗, 崇禎帝)의 사당을 짓고 제

king6113.tistory.com

 

 

비례부동각자옆에 비례부동을 새기게된 각자가 따로 각자되어 있습니다.

비례부동非禮不動이란 어필을 가지고 온 민정중(1628. 1. ~ 1692. 6. 25.)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서예가이다. 자는 대수(大受), 호는 노봉(老峯), 시호는 문충(文忠), 본관은 여흥(驪興)이다. 조부는 경주부윤 민기(閔機)이고, 부친은 강원도 관찰사 민광훈(閔光勳)이며, 모친은 판서 이광정(李光庭)의 딸이다. 형 민기중(閔蓍重)과 동생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과 3명의 여동생이 있으며, 승지 홍처윤(洪處尹)의 딸 사이에 아들 민진장(閔鎭長)을 두었다.

1649년 정시문과에 장원하였으며, 전라도 · 충청도 · 경상도에 암행어사로 나가기도 하였다. 그 뒤 대사헌을 거쳐 이조 · 공조 · 호조 ·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675년 남인이 득세하자 서인으로서 1679년 장흥부(長興府)에 유배되었다가 경신환국으로 송시열 등과 함께 귀양에서 풀려나왔다. 이후 우의정이 되고, 다시 좌의정을 역임했다. 1682년 청나라 강희제가 심양(瀋陽)에 오자 문안사(問安使)로 다녀왔다. 1689년 기사환국 때 남인이 다시 득세하자 벽동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었다. 송시열 · 송준길 · 권상하 등과 교유하였으며 서풍도 이들과 유관하다.

현존하는 비교적 이른 시기의 비문으로 1663년 <유무증묘갈(兪懋曾墓碣)>을 들 수 있다. 단정한 짜임에 필획의 굵기가 비교적 일정하여 당시 양송체의 웅건 · 장중함보다 질박함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1688년 여주 <정익공이완신도비(貞翼公李浣神道碑)>는 자형이 방정하며 획이 가늘어졌고 균일한 굵기가 부드러우면서도 담박한 노년의 필치를 보여준다. 이 작품은 자형과 운필, 획법이 <정익공이완신도비>의 비문과 유사해 50세 전후의 서풍을 보여준다.

성균관대학교박물관 소장 『근묵』의 <행서서간>이나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초서간찰>, 『명가필보』 게재의 <초서간찰>은 송준길의 호방하면서도 엄격한 필의가 엿보인다. 그 밖에 <개성부유수민심언표(開城副留守閔審言表)>나 <개심사대웅전편액(開心寺大雄殿扁額)> 등의 작품이 전한다. 저서로 『노봉집(老峯集)』, 『노봉연중설화(老峯筵中說話)』, 『임진유문(壬辰遺聞)』이 있다.[閔鼎重] (한국 역대 서화가 사전, 2011.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