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문의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화양구곡
- 공주박물관
- 상당산성
- 사과과수원
- 국립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법주사
- 충주박물관
- 밀양박씨
- 선돌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각연사
- 문경새재
- 화양동 암각자
- 부도
- 부여박물관
- 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공산성 선정비
- 사인암
- 효자각
- 효자문
- 경주김씨
- 보성오씨
- 청풍문화재단지
- 오블완
- 단지주혈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목록2021/08/19 (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신복사의 옛 터에 남아있는 탑이다. 신복사는 통일신라 때 범일국사(梵日國師)가 창건한 절로, 창건과 관련된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즉 신라의 한 처녀가 우물에 비친 햇빛을 보고 그 물을 마셨는데 곧 아이를 배어 낳게 되었다. 집안 사람들이 아이를 내다버렸으나, 아이의 주위로 빛이 맴돌아 괴이하게 여겨 다시 데려와 길렀는데, 그 이름을 범(梵)이라 하였다. 범이 출가하여 승려가 된 후 고향에 돌아와 신복사와 굴산사(掘山寺)를 창건하였다고 한다. 창건 이후의 기록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 탑은 2층의 기단(基壇)을 쌓고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것으로, 각 부분의 모습들이 특이하다. 바닥돌의 윗면에는 연꽃이 엎드려 있는 듯한 모양의 조각을 하여 둘렀고, 아래층 기단의 4면에는 안상(眼象)을 3개씩 새겨 ..
도시가 한산하다 못해 썰렁하다. 코로나가 더욱 기승을 부린다. 강릉시내가 단계가 높아지면서 한 여름의 여유도 사라져 가는 느낌이다. 굴산사지 당간지주를 찾았다. 넒은 논 가운데 우뚝솟은 당간지주 이 주위가 절터였을 테지? 신라 문성왕(文聖王) 9년(847) 범일국사(梵日國師)가 창건한 굴산사의 옛터에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큰 당간지주이다. 굴산사는 범일국사가 당나라 유학시 왼쪽 귀가 떨어진 승려가 고향에 자신의 집을 지어달라는 청으로 지은 사찰이라고 한다.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이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사찰 앞에 세워지며 신성한 영역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