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밀양박씨
- 사인암
- 곡산연씨
- 한독의약박물관
- 상당산성
- 부도
- 공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티스토리챌린지
- 문경새재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보성오씨
- 국립청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법주사
- 공산성 선정비
- 문의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오블완
- 효자각
- 화양동 암각자
- 선돌
- 효자문
- 각연사
- 화양구곡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Today
- Total
목록2021/09 (141)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gSyv/btrfUOxDK9V/cfqPvpeZt0ulKSXHBQVgi1/img.jpg)
청성면 윗쇠대[上金] 마을입구에 있는 영양인 천영수의 기념비입니다. 합금리 마을자랑비앞에 축대위에 자리하고 있어 살펴보기가 좋치않다. 비석의 전면에는 전구장천영수기념비(前區長千英秀記念碑)라고 써있다. 열심과 지성으로 마을을 돌보았기에 그를 향한 칭송이 온 마을에 가득하였네 그의 공을 잊지않기 위하여 비석을 세운다.비석은 동네주민들에 의하여 신묘(辛卯)8월에 세웠다.비석의 상태등으로 추정하여 보면 신묘년은 1951년 입니다. 합금리는 청성면 남서부에 위치하며 면적은 3.98㎢,이다. 동쪽은 고당리, 남쪽은 동이면 조령리, 서쪽은 동이면 청마리, 북쪽은 안내면 지수리와 인접한다. 원래 청산현 남면 지역으로 조선총독부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서 상금대리, 하금대리, 금현리를 합쳐 합금리라 하여 옥천군 청남면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OIbk/btre7IX11Yg/xrFZu0xokFP5n5Pc0I3qJ1/img.jpg)
군수김공명수혜덕비 (觀察使金公命洙惠德碑)라고 적혀있습니다. 승정원일기 3066책 (탈초본 139책) 고종 32년 12월 24일 [양력2월7일] 경인 3/4 기사 1895년 開國 504년 光緖(淸/德宗) 21년....沃川郡守金命洙, 結城郡守朴基鵬, 延安郡守崔名煥依願免本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22TZ/btrf7zTpE4i/kPWoaRxguBx4fldgGduS8K/img.jpg)
청성면 소서리에 있는 은진인 송주현의 비석입니다. 동네구장을 맡아 열심히 봉사한 송주헌의 공적을 잊지 않기 위하여 마을주민들에 의하여 비석을 세웠습니다. 소사리9작은뱀티)는 누대로 은진송씨들이 살아온 송씨 집성촌입니다. 구장송공주헌기념비(區長宋公周憲紀念碑)라고 적혀있습니다. 비신이 파손되어 다시 붙인것 같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96Vvf/btrfWcsamIS/R7au6euzqKVgdCR7CfLvg1/img.jpg)
만명리晩明里는 장수리의 동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궁촌리, 남쪽과 서쪽은 무회리 남 부, 북쪽은 보청천을 경계로 산계3리 계하와 안임이와 접한다. 만명리는 만밍이, 마명으로 부른다. 마을 앞을 보청천이 동쪽에서 유입하여 마을을 지나쳐 서쪽으로 흐르는데 장 마철에 거대한 보청천 물길이 안임이 절벽에 부딪히며 바위 협곡을 울리는 소리가 마치 말의 울음처럼 들려서 ‘말 밍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vxfKn/btrf1h65VDd/nfKwLMtilTkGnwWzQQv1e0/img.jpg)
청성초등학교 정문에서 오른쪽으로 20m 떨어진 담장 아래 축대에 위치하고 있다. 덮 개돌 크기는 225×155×55㎝이고, 암질은 거정화강암이다. 마을에서는 거북바위라 부르고 있다. 이 고인돌의 덮개돌은 본래 청성초교 앞 도로변에 있었으나 1983년 5월 지방도 확장· 포장공사를 하면서 청성초교 교정에 옮겨졌다가 그 후 담장 밖으로 이전되었다. 이곳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덮개돌의 일부가 깨진 상태이다. 산계리1호 고인돌이라고 부르며 형식은 개석식이며 청성초등학교 담밑에 위치하고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iAD8/btrf3tGbBYx/cAA4p7NPIrBKnfX0nX6sCK/img.jpg)
청성면 화동리에 있는 이천서씨세거지비입니다. 화동마을 입구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화동리마을자랑비와 그리고 동네로의 액운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돌탑도 2기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천서씨는 신라 52대 효공왕(孝恭王) 때 아간대부(阿干大夫)를 지낸 서신일(徐神逸)이 시조이다. 이천(利川)이란 지명은 935년(고려 태조 18) 태조가 후백제를 정벌할 때 이곳에 살던 서목(徐穆)이 강을 건너는 데 도움을 준 데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진다. 이처럼 이천서씨는 서목 때부터 고려 건국에 협력하여, 고려 건국 이후 광종∼정종 연간에 서필(徐弼), 서희(徐熙), 서눌(徐訥) 등 대대로 재상을 배출하며 명문가가 되었다. 고려 말기의 서견(徐甄)은 조선이 건국된 뒤에도 충절을 지켜 끝내 벼슬에 오르지 않아 시흥의 충현서원(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