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사인암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화양구곡
- 사과과수원
- 문의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문경새재
- 화양동 암각자
- 경주김씨
- 충주박물관
- 각연사
- 법주사
- 선돌
- 밀양박씨
- 티스토리챌린지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각
- 효자문
- 청주박물관
- 부도
- 상당산성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충북의 문화재
- 곡산연씨
- 보성오씨
- Today
- Total
목록2021/09 (141)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moce/btrfUNle7HY/ClS3V5kajXFLHLgsOWWNrK/img.jpg)
궁촌리는 청성면 서쪽에 위치하며 면적은 3.38㎢,이다. 옛날 청산현의 남쪽 관문인 남대문재(궁촌재) 아랫마을로 보청천이 앞에 흐른다. 동쪽은 소서리, 서쪽은 장수리, 남쪽은 지방도가 통과하는 궁촌재가 위치한 남대문산을 경계로 삼남리로 나뉜다. 북쪽은 보청천을 사이에 두고 산계리와 접한다. 궁촌리는 원래 조선시대 청산현 남면 무회리無懷里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에 따라 옥천군에 통합되었다. 갑오개혁 때 청산군 청남면 무회리였다가 옥천군 청남면 궁촌리로 바뀌었다. 이후 1929년에 청남면은 청서면과 함께 청성면에 편입되었다. 마을의 유래는 뒷산 지형이 활처럼 생겼다 하여 활골, 또는 궁촌대라 부르다 마을 이름이 되었다.이 마을에 논이 많아 벼농사와 인삼을 재배한다. 문화유적으로 궁촌 마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q1ip/btrfU3P4Pyy/IDRhkh8KqIamcpt6mLR5FK/img.jpg)
옥천군 청성면 청성초등학교 앞에 자리하고 있는 마을보호수 아래 산계리 자랑비와 함께 서있는 일제강점기시절 청남면장을 지낸 박형재의 기념비입니다.박형재는 이곳 청성면 서평리 출신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전면장박형재기념비(前面長朴亨載紀念碑)라고 적혀있으며 자애로서 면민을 살피고 열과 성의를 다해 매사의 일을 공평하게 처리한 면장의 공적을 치하한다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한국사데이터를 참조하면 면장 박형재 소화3년(1927년) 칙령제 188호로 옥천군내 모든 면장들과 함께 대례기념장을 받습니다. 昭和3年11月16日-昭和3年勅令第188號ノ旨ニ依リ大禮記念章ヲ授與セラル- 忠淸北道沃川郡靑南面長 朴亨載 산계리는 청성면 동부 중앙에 위치하며 청성면 소재지다. 면적은 5.14㎢이다. 면사무소를 비롯한 청성초, 파출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SG4h/btrfUPwtvtI/xyE4JSsJHFKBrSyYiA6nNk/img.jpg)
청성면 마장리 마을안쪽 마을정자가 있는 쉼터에 한쪽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머리부분은 세모꼴로 판형이며 제주목사옥천육공유허지비(濟州牧使沃川陸公遺墟之碑)라고 새겨져 있습니다. 마을 안쪽으로 제주목사를 지낸 육한의 묘와 재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비석의 형태등으로 보아 근래에 후손들에 의하여 세워진 유허비인 듯 합니다. 조선 성종 때 제주목사를 지낸 육한은 옥천군 청성면 마장리로 낙향하면서 제주도 조랑말을 가져와 길렀다. 이때부터 이 마을은 마장리馬場里라고 불린다. 옥천군 청성면 마장리 문수산 아래에 묘소가 설단되어 있으며, 매년 음력 10월 10일 마장리 재실에서 목사공 시향을 지낸다. 목사공파의 후손 중 정조 때 학문과 도학으로 명성이 높았던 육상지陸相贄 는 벼슬을 하지 않고 고향에 은거하며 많은 후진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iG539/btrfWJvlJ1Z/czryCS4BJrUlZS2avkjDbk/img.jpg)
청성면 고당리 원당 강릉유씨 입향조인 유득승의 비석입니다.이곳 원당(월꼬지,월꾸지)은 유득승이 임진왜란 당시 전란을 피해 마을에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t1ObD/btrfU4G2BLT/X9SwvWCWctm4qLKP0IWkuk/img.jpg)
청성면 고당리 원당에 있는 강릉유씨 재실인 숭모재입니다. 삼문 옆으로 유득승의 비석과 초대종중회장을 지낸 유갑종의 공로비가 있습니다.숭모재 안에는 강릉인 유석종(劉碩鍾)의 건립공로비가 서있습니다. 고당리 원당은 강릉유씨들의 집성촌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GX5aX/btrfPWi9Qrd/MxRwBm2QM8yi61oSisVhV1/img.jpg)
고당리는 지리적으로 동쪽은 양저리, 서쪽은 금강을 경계로 동이면 조령리와 나뉘며, 남쪽은 동이면 우산리, 북쪽은 합금리와 양저리 북부 산지와 이웃한다 청성면 고당리 원당마을 초입에 있는 구장을 지낸 강릉인 유주열의 기념비입니다. 비석의 건립시기가 1958년 4월이라고 되어 있는데 비석등의 상태로 보아 기존에 있던 비석의 파손등에 의하여 새로운 비석으로 교체한 듯 싶습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전구장강릉유씨주열기념비(前區長江陵劉氏周烈記念碑)라고 적혀있으며 고당리 동민일동 이름으로 건립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