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문경새재
- 문의문화재단지
- 청풍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사인암
- 한독의약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각연사
- 밀양박씨
- 충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부도
- 효자각
- 사과과수원
- 선돌
- 오블완
- 효자문
- 단지주혈
- 법주사
- 공산성 선정비
- 화양동 암각자
- 공주박물관
- 경주김씨
- 충북의 문화재
- 곡산연씨
- 상당산성
- 화양구곡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Today
- Total
목록2021/09 (141)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성면 거포1리 들어가는 초입 야산에 서있는 청산현감을 지낸 허필의 추모비입니다. 충과 효를 갖추고 백성을 사랑하며 맡은 책임을 다하는 허필의 공적을 잊지 않기 위하여 세운 추모비입니다.추모비의 정면에는 행제독가선대부청산현감양천허공휘필자혜선정추모비(行提督嘉善大夫靑山縣監陽川許公諱苾慈惠善政追慕碑)라고 적혀있습니다. 허필은 1654년(효종5)에 과거를 급제한 후 감찰,곡성현감,청산현감등을 역임하였습니다.비석의 상태등으로 보아 비의 파손이나 훼손으로 후세에 후손들에 의하여 다시 세워진것으로 보입니다. 제독(提督)이라 함은 조선 시대 교육을 감독•장려하기 위해서 지방에 파견된 관원. 선조 19년(1586)에 8도에 각 1인을 파견하여 해도(該道)의 향교를 감독하게 하다가 동왕 25년(1592)에 폐지하였다. 허필..
청성면 거포1리 들어가는 초입 언덕에 있는 효부이천서씨의 비석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효부이천서씨지비(孝婦利川徐氏之碑)라고 적혀있습니다. 비석의 뒷면은 살피기가 안좋습니다. 효부이천서씨에 대하여는 자세한 행적을 알수가 없습니다. 양천허씨 세거지비와 청산현감을 지낸 제독 허필의 추모비와 같이 있는 것으로 보아 양천허씨 가문으로 시집을 와서 효와 절로 가문을 빛낸 이천서씨의 비석입니다.
청성면 거포1리 마을초입 야산에 있는 양천허씨세거지비입니다. 양천허씨는 허선문(許宣文)을 시조로 한다. 허선문은 공암(孔巖)[현 서울특별시 양천구] 지방의 호족으로 고려 태조를 도와서 고려 건국에 공로를 세워 양천허씨 집안의 시조가 되었다. 그로부터 자손들이 중앙에 진출하여 크고 작은 벼슬을 하면서 가세를 이어 갔다. 고려 충렬왕 때 허공(許珙)은 첨의중찬(僉議中贊)으로 수상의 지위에 올랐고 양천허씨는 최대의 벌족으로 입지를 굳혔다. 허공의 막내아들 허부(許富)는 정3품 대언(代言)과 선부전서(選部典書)의 요직을 역임하였고, 족보에는 예문관 대제학을 역임한 것으로 나와 있다 양천허씨 [陽川許氏]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거포리는 원래 청산현 서면 황음리에 속했던 마을로서 이 황음리는 후에 구음리와 거포리로..
청성면 구음리에 있는 박월봉님의 공로기념비입니다. 비석은 구음2리 가는 야산쪽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박월봉씨공로기념비(朴月峰氏功勞記念碑)라고 적혀있습니다.비석의 상태등으로 보아 비석의 건립시기는 임인년(壬寅年)으로 1962년 입니다.
관찰사 김공병시영세불망비 (觀察使 金公炳始 永世不忘碑)라고 적혀있습니다.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김병시는 1870년에 공충도관찰사로 제수되었다. 김병시는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초(聖初), 호는 용암(蓉庵). 아버지는 판서 김응근(金應根)이다.1855년(철종 6) 북원(北苑) 망배례(望拜禮) 때 참반유무시사(參班儒武試射)에서 뽑혀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이때부터 훈국금위종사관(訓局禁衛從事官)·선전관(宣傳官)·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정언(正言)·병조정랑(兵曹正郎)을 거쳐 1860년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에 오르고 1863년에는 이조 참의가 되었다. 1865년(고종 2) 병조참의, 1869년 예조참판·의금부사(義禁府事), 1870년 공충도관찰사(公忠道觀察使), 1874년 도승지, 1875년 형조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