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문경새재
- 청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한독의약박물관
- 오블완
- 부도
- 각연사
- 경주김씨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사과과수원
- 선돌
- 공주박물관
- 밀양박씨
- 단지주혈
- 부여박물관
- 효자각
- 청풍문화재단지
- 사인암
- 국립청주박물관
- 법주사
- 보성오씨
- 화양구곡
- 충북의 문화재
- 티스토리챌린지
- 충주박물관
- 곡산연씨
- 공산성 선정비
- 효자문
- 상당산성
- Today
- Total
목록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대추하면 보은군 (4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백석리는 본래 보은군 산외면 지역으로서 흰 돌이 많이 있으므로 흰돌이라 하던 것을 흔들 또는 백석이라 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장갑리 일부를 병합하여 백석리라 하였다. 마을 초입에는 동네의 이름을 반영하듯이 흰빛이 섞인 커다란 자연석이 동네입구를 장식하고 있다...
본래 회인군(懷仁郡) 소재지로 읍내면(邑內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마근동(馬斤洞)과 사동(蛇洞), 눌곡리(訥谷里)와 평창리(坪昌里)의 일부를 병합하여 회인읍내의 중앙이 되므로 중앙리(中央里)라 하고 회인면에 편입되었다. 말-들(馬坪)[마을] 평창 남쪽에 있는 마을. 말무덤 아래에 있음. 먹티천 건너에 있음. 사자-골(社루洞, 社洞)[마을] 평창 서북쪽에 있는 마을. 사직단 아래에 있으며 망골천 건너에 있는 중앙 2리. 옥도래[마을] 말들 동쪽에 있는 마을. 전에 감옥터였다고 함. 평창-동(坪昌洞, 저자거리)[마을] 중앙리의 중심이 되는 마을. 장이 섰다하여 ‘저자거리’라고도 불음. 중앙 1리. 하마-실(下馬室)[마을] 평창동 서쪽에 있는 마을. 옛날 사람들이 이 마을에서는 말에서 ..
수한면은 본래 보은군의 지역으로서 사질양토이기 때문에 비가 와도 항상 물이 귀하므로 수한면이라 하여 후평(後坪), 와야(瓦冶), 운천(云川), 발산(鉢山), 교암(敎岩), 거묵(巨墨), 병원(並院), 성리(星里), 소계(소溪), 말관(末串), 묘북(묘北), 중리(中里), 거현(巨峴), 거신(巨新), 문치(門峙..
아무도 바라보지 않는 마을회관 뒷켠 벽. 한사람 한사람 정성이 모여서 경로회관건립비가 만들어졌다. 돌에 새겨진 작은 이름과 정성이 오늘은 참 크게도 보인다.
동정저수지라고도 하며, 1976년 1월 1일 착공되어 1981년 1월 1일 준공된 협곡형 저수지이다. 제방 형식은 흙으로 둑을 쌓은 토언제(土堰堤)이며, 유역면적 2272ha, 수혜면적 985.6ha, 만수면적 32.9ha, 총저수량 454만 4000t, 제방길이 283m, 제방높이 35.5m이다. 용수가 풍부하고 주변 경관이 뛰어나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