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효자문
- 충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각연사
- 화양동 암각자
- 문경새재
- 티스토리챌린지
- 단지주혈
- 부도
- 청풍문화재단지
- 청주박물관
- 경주김씨
- 선돌
- 사인암
- 오블완
- 한독의약박물관
- 사과과수원
- 화양구곡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공산성 선정비
- 상당산성
- 법주사
- 공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밀양박씨
- 곡산연씨
- 보성오씨
- 국립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효자각
- Today
- Total
목록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대추하면 보은군 (4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적음리는 남으로 시루산을 끼고 있으며, 북으로 성암·봉암·창리와 동으로 달천 건 너 산외면 이식·중티리, 남으로 시루산 너머 이원리, 서로 성티리와 접해있다. 본래 청산현 주성면 지역으로 1906년에 보은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내저리와 외저리를 병합하여 적음리라 하고 내북면에 편입되었다. 자연마을로는 원마루, 아랫말(중간말), 웃말이 있으며, 지명으로는 노루고개, 노 리개들, 물탕골, 미사리골, 밤소보, 뱀골, 벼재들, 사타골, 새시골, 수가마골, 엄나무 고개, 원도랑이들, 재피골, 차돌백골, 천적골, 홍께울 등이 있다. 자연마을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랫 - 말(下村)[마을] 웃말 동쪽에 있는 마을. 아래쪽에 있음. 웃 - 말(上村)[마을] 아랫말 서쪽에 있는 마을. 적음리에서 ..
피반령을 넘는다. 하늘은 비는 뿌리지 않치만 잔뜩 흐려있다. 보은군 회인면 오동리에서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보은군과 청주의 경계를 이룬다. 피반령이라는 지명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이원익(李元翼)이 경주 목사로 부임하면서 생긴 일화에서 유래되었다. 당시 이..
임한리는 옛 조선시대 상주목(尙州牧)의 임언부곡(林堰部曲)이 설치되었던 지역으로 뒤에 보은군(報恩郡) 왕래면(旺來面) 관할지역으로서 숲이 많으므로 임한이 또한 임한(林閑)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임한리(林閑里)라 해서 탄부면(炭釜面)에 편입되었다. 임한리에 있는 솔밭공원은 많은 사진작가들의 좋은 사진찍기 명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계후인유병찬씨영세불망비(杞溪后人兪炳瓚氏永世不忘碑) 1936년 일제강점기 시절 주민들이 세운 송덕비로 아랫말에 있다. 기계유씨(杞溪兪氏) 좌의정(左議政) 충목공(忠穆公) 유홍(兪泓)의 후예 20여호가 거주하고 있다. 경모재(景慕齋)와 임천정(林泉亭)기계유씨(杞溪兪氏) 문중의 재실과 제각이다. 1958년에 건립한 재실 경모재는 전면 4칸반, 옆면 1칸반, 목조..
제 블로그를 다녀가시는 honey honey 님의 고향이란다. 동네 초입에 민묘 옆에 자리한 고인돌 비석군을 찾으러 갔다가 송현리의 모습도 담아 보았다. 동네초입에 있는 고목과 마을주민들의 쉼터역할을 하는 송현정이란 현판이 달린 정자 그리고 송현리 마을자랑비가 정겹다. 송현리는 면적 1.99㎢, 인구 59가구 190명(1999년말), 본면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동은 임곡리(壬谷里), 서는 관기리(官基里), 남은 소여리(所餘里) 북은 갈평리(葛坪里)에 접하고 있다.본래 보은군 왕래면(旺來面)의 지역으로서 솔고개 밑이 되므로 솔고개 또는 송현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수영리(水永里)를 병합하여 송현리라 해서 마로면에 편입되었다. 송현리 마을 입구에는 느티나무가 심겨져 있는데 본래 3그루가..
본래 보은군 수한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질관리(秩串里)와 신리(新里)를 병합하여 질신리라 하였다. 새터:질고지 서남쪽에 새로 생긴 마을로 지금은 질신2리임. 질고지:질고지 동쪽에 있는 마을로 산이 길게 뻗어나와 곶을 이루고 있으므로 ‘긴고지’라 부르던 것이 ‘질고지’가 됨. 동네골:동네 가까이에 있는 골이라하여 붙인 이름. 매봉산:매가 꿩을 채려고 날아가다가 앉은 고개라고 함. 밀개봉:산 모양이 밀개의 형상을 하고 있다고 함. 비들목재:질신에서 광촌리어리괭이로 넘어가는 고개로 목이 긴 비둘기가 날아가는 모양이라고 함. 속서마지기논:안쪽 깊숙이 있는 서마지기 논. 수문 억:오릿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수문봉:수문억골 부근에 있는 여덟 봉우리. 신랑새댁바우:신랑과 색시처럼 마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