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청주박물관
- 밀양박씨
- 효자문
- 사인암
- 각연사
- 법주사
- 화양동 암각자
- 한독의약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선돌
- 사과과수원
- 문의문화재단지
- 부도
- 상당산성
- 문경새재
- 충주박물관
- 곡산연씨
- 경주김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공산성 선정비
- 공주박물관
- 효자각
- 국립청주박물관
- 화양구곡
- 티스토리챌린지
- 보성오씨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목록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붉은사과 충주시 (4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재오개는 살미면 법정리동의 하나로, 본래 충주군 살미면 지역으로 다섯 개의 고개 밑에 있으므로 재오개(才五介)라 하였는데, 옛날 경주이씨(慶州?氏) 2가구가 상경하다가 산수가 좋아 이곳에 정착하여 마을을 형성하였다 한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도선동(道仙洞), 동막동(東幕洞)을 병합하여 재오개라 하였는데 조선시대의 여지류(輿誌類)엔 재옥애(裁玉崖)로 표기되어 왔다. 1937년 법정리동을 자연마을 단위로 분구할 때 상재오개, 하재오개, 도선동, 동막동으로분리되었다. 동쪽은 매내미재를 넘어 신매리와 접하고, 서쪽은 발티 능선을 경계로 발티골과 접하며, 남쪽은 설운리와 접하며, 북쪽은 하느골 재를 넘어 목벌동과 접하고 있다. 재오개는 과거 한수면 쪽에서 충주로 넘어오는 주요 교통로상의 마을로, 재오..
어느날 훌쩍 떠났던 여행길에 놓치고 온 아름다운 추억이 생각나 다시 떠났던 그 길. 내 젊음의 노트속에 아스라히 간직하고 있었던 그 시절의 사진이 문득 보고 싶었다. 수안보면 월악산초입에 자리하고있는 미륵리시지의 그림입니다. 푸른하늘과 닮았던 나의 첫마음이 변하여 구름이 되였나?
살미면 내사 2동 마을회관과 경로당입니다.자연마을로 진말과 절골로 나뉘여져 있다. 내사2리는 충주댐 건설로 인한 수몰현황을 보면 주막거리는 완전히 수몰되였고 수몰선 안으로 들어간 세대들이 많아서 대규모의 이주가 불가피했던 지역이다 수몰당시에는 주막거리마을 48세대 진말..
내사리는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내화동과 보사동에서 이름을 따서 내사리라 하였다. 1757~1765년에 편찬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내화동은 내화석(乃火石)이라 하였고, 1907년 발간한 『한국 호구표』에 처음으로 내화동과 함께 보사동이 기록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산척면 영덕리 용전마을의 전경이다. 용전마을이 속해있는 영덕리는 충주군 산척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둔대리, 독동, 용전리, 덕해리,계척리, 상영리, 백악리, 성암리, 서곡리, 하영리, 용암리, 온금리, 월현리와 엄정면 율곡의 일부를 병합하여 상영과 덕해의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