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사과과수원
- 티스토리챌린지
- 공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법주사
- 부여박물관
- 곡산연씨
- 밀양박씨
- 화양동 암각자
- 문의문화재단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북의 문화재
- 화양구곡
- 사인암
- 효자문
- 한독의약박물관
- 문경새재
- 공산성 선정비
- 상당산성
- 부도
- 국립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선돌
- 오블완
- 단지주혈
- 효자각
- 각연사
- Today
- Total
목록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 (20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초평면은 진천군 7개 읍면의 하나 본래 진천군의 지역으로서 초평면이라 하여 통동, 이곡, 금한, 수문, 양촌, 지전, 선남, 신평, 상영, 하영, 농촌, 부창, 매산, 죽정, 수문, 구성, 어은, 삼봉, 봉암, 용동, 삼선, 상동, 죽현, 생암, 봉촌, 소도평, 하리, 서암상리, 화암하리, 사산, 생입, 삼티의 31개리를 관할하였습니다.그러던 중 1914년 군민폐합에 따라 산정면의 삼대, 기지, 두상의 3개리와 문방면의 오갑리를 편입하는 동시에 삼치리는 음성군 원남면에 넘겨주고 화산, 굴곡, 용정, 영구, 신통의 5개리로 개편 관할하였는데 1930년 3월 1일덕산면의 오갑리와 문백면의 연담리와 청원군의 북이면의 은암, 진암, 용기, 용산의 4개리를 편입하여 11개리가 되었습니다.1983년 2월 15일 행..

화산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생긴 이름으로, 화산리(畵山里)는 화암(畵岩)과 사산(斜山)에서 한 자씩 따서 생긴 지명이다. 화암은 ‘빗길미’ 서남쪽에 있던 마을이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는 ‘두물둔지’로 나오고, ‘화암’이라는 한자 지명이 대응되어 있다. ‘사산’은 본래 ‘서남골’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빗길미’라고 불렀다. 빗길미는 ‘비스듬한 형상의 산’으로 해석되고 이에 대한 한자 지명이 사산이다. 화산리에 위치한 초평저수지인근에 형성된 붕어찜을 전문으로 하는 식당가입니다. 초평붕어찜 - 디지털진천문화대전 (grandculture.net) 초평붕어찜 - 디지털진천문화대전 [정의]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초평저수지 일대에서 붕어를 통째로 쪄서 만드는 향토음식. [개..

신도 1리는 어룡과 통미로 구분되어진다. 마을입구에는 지철호공덕비가 자리하고 있습니다.어룡(漁龍)은 원래는 비렁이 마을이라고 하였음. 어룡소류지가 생긴후부터 제때에 모내기르 하고 소류지엔 고기가 떼지어 살았다하여 어룡이라 이름함.통미(桶山)는 어룡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외딴 산이므로 독뫼라고 불리던 것이 와전되어 통미라고 부른다고 함.

가고리는 본래 보은군 산외면의 지역으로서 지형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어 더구리 또한 덕우리(德友里)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가고리(加古里)라 하였다. 교통은 마을 앞을 지나 청원군 금관리를 잇는 아스팔트 도로가 2차선으로 뚫려 있다. 자연마을 골-말 : 더구리에서 중심이 되는 마을, 서쪽 골짜기를 따라 형성되었다고 하여 골마을이라고 한다. 부자-골 : 옛날에는 부자가 많이 살았다고 하며 지금도 기왓장이 많이 나오고 있다고 함. 양지-말 : 골말의 동쪽 가막골 고개 밑에 있는 양지쪽 마을. 중-뜸 : 골말 동쪽에 있는 마을로 더구리 중간이 됨. 기타지명 가막골-고개 : 더구리에서 미원면 금관리 가막골로 넘어가는 고개 가마솥처럼 생겼다고 하며, 흙이 질어서 가막골 고개라고도 한다. 국수봉 ..

본래 괴산군 남상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廢合)에 따라 수산리(水山里), 이곡리(梨谷里), 화영리(禾?里)의 각 일부(一部)와 북상면(北上面)의 묘마동(叩馬洞) 일부(一部)를 병합(倂合)하여 화영과 수산(水山)의 이름을 따사 화산리(禾山里)라 하여 사리면에 편입(編入)되었다. (가) 대촌 큰말(大村) : 느티나무가 있는 마을. 도람말 : 지금 회관 남쪽에 있는 마을. (나) 도촌 도촌 안동네 : 전엔 마을 전체를 통털어 도촌이라 했다. 1978년 동네 뒷동산 경사진 쪽에 사는 12가구가 마을입구 홍감사 사당터로 이주한 이후 안에 있다하여 그렇게 부름. 도촌 바깥동네 : 마을입구 홍감사 사당터로 12가구가 이주하여 사는 동네. 오룡가리(五龍洞) : 매봉째부터 다섯줄기가 내려왔다고 하여 붙여진..

탑연리는 본래 청주군 서강내이하면의 지역으로 탑밑에 소가 있었음으로 탑소 또는 탑수라 부르다가 탑연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개편에 따라 월곡리 일부를 병합하여 탑연리라 해서 강내면에 편입하였고 1967년 5월 정문안, 재실말, 산정말, 가는골, 장성골을 1리로 하고, 아랫말과 아랫터를 2리로 분구하였다. 정문안재실말 동쪽에 있는 마을. 재실말탑연리 서남쪽에 있는 마을. 淸風金氏 재실이 있다. 산정말재실말 동쪽에 있는 마을, 산지기가 살았다. 가는골재실말 서쪽에 있는 마을. 아랫터강다리 아래쪽에 있는 마을. 아랫말면 소재지 마을 미호상가가 있는 마을. 장성골(잼팽이)재실말 남쪽에 있는 마을. 美湖川橋탑연리와 강외면 궁평리를 연결하는 미호천 다리. 남산강다리 남쪽에 있는 산. 남산앞남산 앞에 있는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