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청풍문화재단지
- 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효자문
- 문경새재
- 밀양박씨
- 티스토리챌린지
- 부여박물관
- 경주김씨
- 화양구곡
- 충주박물관
- 단지주혈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각
- 충북의 문화재
- 곡산연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화양동 암각자
- 각연사
- 국립청주박물관
- 부도
- 보성오씨
- 사과과수원
- 공산성 선정비
- 법주사
- 오블완
- 한독의약박물관
- 사인암
- 상당산성
- 선돌
- Today
- Total
목록박물관 구경하기 (48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춘천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조보실좌상입니다. 제올라이트(불석)으로 만들었습니다. "경상도에서 가져온 돌로 만든강원도의 보살"이라는 긴 이름도 있습니다.
국립춘천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태함입니다. 태함이라 함은 예전에, 궁가(宮家)에 출산이 있을 때 그 출생아의 태(胎)를 묻던 석실(石室)을 말합니다. 태실도감(胎室都監) - sillokwiki (aks.ac.kr) 태실도감(胎室都監) - sillokwiki 조선 전기에 왕실의 태실(胎室) 조성을 총괄한 임시 관서. 개설 왕의 태실을 새로이 조성할 때 설치하는 임시 관서로, 태실 후보지를 찾는 일부터 태(胎)를 안치하는 일, 그리고 태실 조성을 마무 dh.aks.ac.kr
국립춘천박물관에 전시중인 석조 비로불입니다. 원주시 본저전동에서 서울시 경복궁으로 옮겨진 불상입니다. 고려시대 10세기경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중생과 부처, 미혹과 깨달음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뜻하는 지권인智拳印의 손갖춤을 한 것이 특징입니다. 둥글넓적한 얼굴과 물결무늬 옷주름, 대좌의 천인상과 사자 등 고려 초기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비로자나불 - Daum 백과 비로자나불 보통 사람의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광명의 부처를 의미하는 신앙대상. 법신불 이 부처님은 보통 사람의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광명(光明)의 부처이다. 범어 바이로차나(vairocan 100.daum.net
국립춘천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비로불입니다.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원주시 영천사에 있던 석불입니다. 불상의 얼굴부분과 함께 비로불의 지인부분이 파손되어 있습니다. 비로자나불 - Daum 백과 비로자나불 보통 사람의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광명의 부처를 의미하는 신앙대상. 법신불 이 부처님은 보통 사람의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광명(光明)의 부처이다. 범어 바이로차나(vairocan 100.daum.net
춘천박물관 야외전시장인 현묘의 정원에 있는 삼층석탑입니다. 탑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시기 위해 만든 것을 시작으로, 이후 불상(佛像)이 만들어지기까지 중요한 예배의 대상이 되었다. 우리나라에는 목탑木塔, 전탑塼塔, 석탑, 모전석탑(模塼石塔), 청동탑(靑銅塔), 금동탑(金銅塔) 등이 있다. 석탑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기본적인 양식을 유지하면서 조성되었다. 이 탑은 기단부와 상륜부가 결손된 삼층석탑으로, 1층 옥신은 다른 석탑의 일부로 추정된다. 한 면에 문비로 보이는 장방형의 액이 마련되어 있다. 탑(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aks.ac.kr) 탑(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춘천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석조광배 입니다. 광배(光背)는 신성한 존재로서의 위대함과 초월성을 상징한다. 기본 형식은 머리의 두광(頭光), 몸에서 발산하는 신광(身光), 그리고 두광과 신광을 포함하여 몸 전체를 감싸는 거신광(擧身光) 또는 전신광(全身光)으로 나눌 수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불상[여래상]뿐만 아니라 명왕(明王), 보살, 나한[제자], 천인(天人) 등 불교의 여러 존상에도 확대 적용되었다. 형태와 종류가 다양하며, 각종 문양을 추가하여 장엄하기도 한다. 불교에서 빛[광명]이 진리와 지혜의 상징이라는 생각은 부처의 몸에서 무한한 빛[무량광]이 나와 세상을 비추고 중생을 제도한다는 믿음으로 이어졌다. 『대지도론(大智度論)』을 비롯한 여러 경전에 따르면, 부처의 비범함을 나타내는 신체적 특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