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부여박물관
- 상당산성
- 법주사
- 선돌
- 문의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오블완
- 문경새재
- 한독의약박물관
- 사인암
- 공산성 선정비
- 부도
- 단지주혈
- 국립청주박물관
- 각연사
- 공주박물관
- 효자각
- 경주김씨
- 곡산연씨
- 티스토리챌린지
- 충주박물관
- 보성오씨
- 화양동 암각자
- 사과과수원
- 효자문
- 청풍문화재단지
- 밀양박씨
- 화양구곡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중원의 향기/충주시(忠州市) (83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파평윤씨 사직공파의 사당인 추원사이다. 후손들에 의하여 근간에 신축되였으며 가까이에는 관리동도 자리하고있다. 엄정면 괴동리에 위치하고 있다. 파평윤씨의 파평(坡平)은 경기도 파주시(坡州市)의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파해평사현(坡害平史縣)과 술이홀현(述爾忽縣)이 있던 지..
재오개리에서 살미면으로 나오는 도중에 충주호가 바라다보이는 작은 언덕위에 세워져 있는 정자이다. 정자이름은 망향정(望鄕亭)이며 정자밑에는 망향석(望鄕石)이라 하여 고향을 기리는 비를 세워 놓았다. 충주댐건설로 인하여 수몰된 재오개리 주민들이 수몰된 고향을 그리워하며 ..
재오개리 마을회관앞에 자리하고 있는 이광선의 기념비이다. 이광선은 12대에 걸쳐 이동네에 거주해온 사람이다. 대대로 살아온 마을에 마을회관을 지을때 회관부지를 희사하였다. 마을주민들이 감사의 뜻으로 기념비를 세웠다. 12대에 걸쳐 이 마을에 거주해온 이광선(李光善)씨가 마을..
살미면 신매리는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따라 매남리와 신답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신매리라 하였다. 1985년 완공된 충주다목적댐 공사로 인하여 문골,하매남,입석등의 자연마을이 수몰되고 변두리 일부분만 남았다. 매남은 "매나미"로 불리며 옛날에 매화나무가 많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
공이리 서낭당은 마을 입구 암소바위 옆에 있다. 최근에 다시 지었는데 돌계단 위에 시멘트로 기단을 만들고 목조로 벽을 만들었으며, 지붕은 기와로 이은 단칸 건물이다. 정면 처마 밑에 ‘성황당(城隍堂)’이라는 현판이 있다. 성황당은 마을을 지키는 혼령을 모시는 곳을 말한다. 대부..
1980년대쯤 풍동에 사는 친구가 있어 자주 찾았던 유주막 이다. 지금은 유주막 다리가 있어 풍동을 드나들기가 참 편하고 좋치만 그 시절에는 창동입구에서 풍동까지 나무다리를 놓아 다리를 이용하가나 또는 작은 나룻배를 이용하여 마을을 건너곤 했으니 얼마나 불편했을까? 차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월로 가주로 해서 작은소로를 이용하는 불편이 있었다. 단월동 상수도 수원을 취수하는 근처 마을을 유주막이라 한다. 유주막은 삼남대로의 문경새재를 넘어 충주로 들어오는 길목이었던 관계로 주막이 발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400여 년 전 선조의 사돈인 월봉공이 이류면 문주리 팔봉으로 낙향을 했기 때문에 그의 동생인 영의정 유영경 등이 자주 왕래했으므로 유씨네 때문에 생긴 주막이라 하여 유주막(柳酒幕)이라 하였다고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