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충북의 문화재
- 문경새재
- 단지주혈
- 한독의약박물관
- 사인암
- 문의문화재단지
- 곡산연씨
- 화양동 암각자
- 국립청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경주김씨
- 선돌
- 효자각
- 효자문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밀양박씨
- 티스토리챌린지
- 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법주사
- 부도
- 보성오씨
- 화양구곡
- 각연사
- 사과과수원
- 공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충주박물관
- 상당산성
- Today
- Total
목록중원의 향기/충주시(忠州市) (83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교현동 충주향교 비석군에 있는 충주군수 정희택의 선정비이다. 비석의 전면에는 충주군수정희택선정비(忠州郡守鄭喜澤善政碑)라고 음기되여 있다. 정희택은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한 행정가이다. 정희택은 청주제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젊은 나이에 관계에 발을 내딛었다...
이희창은 충주향교의 유계(孺契)를 홍몽화 등과 창설하여 홍영은, 권병억의 뒤를 이어 3대 계장에 피선되어 30여 년간 계장으로 활동하면서 향교 제례에 필요한 물품을 마련하는 등의 공적을 세웠다. 이에 충주 문묘 유림들이 1963년 4월 이희창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비좌개석의 형태로 지..
충주향교 선정비군에 자리하고 있는 일제강점기시절 충주군수를 지낸 전석영의 불망비이다 전석영은 1936년 명륜당을 신축하고 정전및 독서재를 신축하였다.향교진흥과 신축에 공로가 있어 비석을 세웠다. 전석영(全錫泳, 일본식 이름: 松田圭生, 1893년 10월 29일~?)은 인제 강점기의 관료..
충주시 교현동에 위치한 충주향교입구 우측 비석군중에 비석을 바라보며 가장 좌측에 있는 비석이다.비석의 전면에는 행목사이공식청덕선정비(行牧使李公植淸德善政碑)라고 음기되여 있다. 이식(李植)은 조선 중기 충주목사를 역임한 문신이자 학자이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고(汝固), 호는 택당(澤堂)·남궁외사(南宮外史)·택구거사(澤崑居士).고조할아버지는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이고, 아버지는 좌찬성을 지낸 이안성(李安性)이다.1609년(광해군 1) 생원이 되고, 다음 해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1613년(광해군 5) 설서(設書)를 거쳐, 1616년(광해군 8) 폐모론(廢母論)이 있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학문에만 전념했다. 1623년 인조반정 후 기용되어 이조좌랑이 되고, 1624년(인조 2) 부수찬·응..
충주는 사과의 고향이다. 곳곳에 세워진 사과조형탑이 눈에 띤다. 충주를 뜻하는 삼원색은 빨강 파랑 노란색이다 ㅃ빨간색은 사과의 붉음을 뜻하고 파란색은 충주의 풍부한 수량인 물을 나타내며 노란색은 지금은 많이 쇠퇴한 황색엽연초의 색을 표시한다고 배웠는데 지금도 변하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