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화양구곡
- 보성오씨
- 단지주혈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동 암각자
- 부도
- 경주김씨
- 공산성 선정비
- 상당산성
- 곡산연씨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효자문
- 효자각
- 사과과수원
- 법주사
- 공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문경새재
- 밀양박씨
- 청풍문화재단지
- 문의문화재단지
- 사인암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각연사
- 한독의약박물관
- 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선돌
- 충북의 문화재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음성군(陰城郡) (551)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갑산리 봉저수지위에 우측으로 새로 건립한 사당이다. 본 사당은 안동권씨 양평공파의 사당입니다. 양평공은 용비어천가를 지은 지재(문경공)권제할아버지의 장자이며 양평공의 조부는 양촌(문충공)권근할아버지입니다. 지재문경공할아버지의 사당은 갑산리동녁에 있다. [갑산리 동녁..
충도4리 도남마을 경로당앞에 위치한 박정치의 자선비이다.박정치는 도남마을에서 자라며 마을발전에 공이 있으며 동네 이장을 역임하면서 마을발전과 마을을 위해 자신의 토지를 희사하는 등 마을발전에 헌신봉사함을 기리기 위해 동네주민이름으로 비를 세웠다.1993년에 건립하였으며 비의 전면에는 밀양박공정치자선비(密陽朴公正治慈善碑)라고 음각되여 있으며 비의 후면에는 그간의 행적을 기록하였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2i4V2/btrexlYBPB6/klIvvqB0xSivn3BDPTMuVK/img.png)
몇번이고 다녀온 곳이지만 볼때마다 마음이 쓰인다.이 탑의 존재를 알수있는것은 탑촌이라는 지명뿐이지 않을까?탑으로서의 온전한 모습은 어디에도 없고 철저히 도괴되였다.현재의 석탑부재들도 온전한 것이 아닌듯 하다.후에 보강된 석탑부재와 자연석을 이용하여 석탑의 흉내(?)만 낸것이 아닐까 많이 마음이 쓰인다.1층 탑신의 사면에는 각각의 부처상을 새겨 놓았는데 솜씨가 매우 조악하다.후대에 누군가에 의하여 선각되였을 가능성이 많다. 온전한 모습 모두 민초들의 바램에 내여주고 텅빈들녁에서 외로음을 반추하고있다. 갑산1리의 끝 마을인 탑골말 입구에서 금봉산 방향으로 약 100m쯤 가면 오른쪽에 탑이 서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 탑은 현재 원형을 복원해 놓은 것이며 원래 세워져 있던 탑은 7층석탑이었다. 그러나 ..
소이면 충도리 도남마을회관앞에 자리한 김명기자선비이다. 김명기는 초대 새마을지도자로 마을발전에 앞섰으며 마을회관 건립당시 회관부지를 기증하는 등 마을발전에 앞서 마을사람들이 그의 헌신을 칭송하며 비를 세워 1993년에 회관 앞마당에 건립하였다. 비의 앞면에는 경주김공..
충도리 도남마을 마을회관앞에 자리한 불망비이다. 김용식씨구휼빈인불망비(金用植氏救恤貧人不忘碑)라고 음각되여 있다. 비의 건립시기는 갑자십월삼일로 되여있다. 김용식이 갑자년에 발생한 흉년으로 인하여 빈민이 많이 발생하자 사재를 털어 구휼에 앞장선것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듯 하다. 1924년 갑자년에 전국적으로 흉년이 들어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비의 상태로 보아서는 1924년 일제강점기시대에 건립 된것이다.비의 상태는 양호하다. 비가 있는 충도리는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에 속하는 법정리이다원충리(元忠里)의 ‘충(忠)’자와 도남리(道南里)의 ‘도(道)’자를 따서 충도리라 불린다.본래 충주군 사이포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도남리, 양전리에 해당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도남리, 양전리, 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