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청풍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화양구곡
- 효자각
- 경주김씨
- 청주박물관
- 각연사
- 보성오씨
- 화양동 암각자
- 국립청주박물관
- 사인암
- 선돌
- 충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문의문화재단지
- 부도
- 공산성 선정비
- 단지주혈
- 사과과수원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경새재
- 한독의약박물관
- 공주박물관
- 법주사
- 오블완
- 곡산연씨
- 충북의 문화재
- 효자문
- 밀양박씨
- Today
- Total
목록노봉서원 묘정비 (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RGPMe/btrrsmYfWN6/1YhQbaEuqC7WyP6WtnXKXk/img.jpg)
강고사는 1932년에 보성오씨(寶城吳氏) 문중에서 진사 지선정(止善亭) 오명립(吳名立, 1563∼1633)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1971년에 노봉서원(魯峰書院)에 배향되었던 문헌공(文憲公) 대사헌(大司憲) 규암(圭庵) 송인수(1487∼1547)와 포천현감(抱川縣監) 북창(北窓) 정렴(鄭廉, 1506∼1549)을 추향하고 매년 음력 3월 15일에 향사하고 있다. 지금의 사당은 1968년에 중건하고 1971년에 보수한 건물로 정면 3간, 측면 2간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인데 내부는 통칸 마루방에 중앙에 쌍문과 좌우에 쪽문을 달았으며 강고사(江 祠)라는 편액을 걸었고 마당 앞에 솟을대문을 세우고 담장을 둘렀다. 강고사 건너편 연덕에는 정자인 지선정이 자리하고있다그리고 정자 지선정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hX3rN/btrrqZa8NP3/eDbAfLCDkLUttt3RkkOzt0/img.jpg)
현도면 하석리 노봉서원 터를 찾기위해 길을 가는 중에 만난 순흥안씨세천비 입니다. 현도면 하석리 저수지 쪽으로 너머가면 노산리에 순흥안씨 양공공파의 묘역과 함께 재실이 있습니다. 순흥안씨세천(順興安氏世阡)이라는 글이 각자 되어 있습니다. 하석리(아래석천)는 영조후반에 석천 아래쪽이라는 의미로 하석리라 하였고, 본래 문의군 일도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청주군 현도면에 편입되었다. 노봉서원터는 하석리 맨 꼭대기에 있는 마을로 밀양박씨와 이천서씨가 누대로 대성을 이루며 살았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wjFW/btrrB4WhSgF/JcgF1M5F5sccB4DcUHAnG0/img.jpg)
노봉서원은 광해군2년(1610)에 오시립(吳時立), 오유립(吳裕立), 오명립(吳名立), 보성오씨 일문과 정렴(鄭磏)의 처갓집 자손인 유흥림(柳興霖)이 송인수와 정렴(鄭磏)을 모시기 위해 구룡산 자락 노봉에 건립하기 시작하여 광해군7년(1615)에 완공하고 청액소(請額疎)를 올려 효종9년(1658)에 허락을 받아 현종3년(1662) 사액(賜額, 임금이 현판을 내림, 즉 국가 공인 서원)받았다. 1694년(숙종20) 송준길(宋浚吉, 1706년 검담서원으로 옮김), 1695년(숙종 21) 송시열(宋時烈), 1725년(영조1) 권상하(權尙夏)를 추가 배향하였다가 송준길은 부용면 검시에 검담서원을 지어서 빠져 나갔다. 오시립, 송시열, 권상하가 원장을 하였다. 그러나 1871년(고종 8)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